
연합뉴스에 따르면 당 핵심 관계자는 11일 "혁신위는 어떤 방안도 당에 제안할 수 있지만, 이를 시행하는 것은 비대위 의결을 통해 결정된다"며 "헌법에 사죄를 넣는 것은 본 적이 없는데, 당의 헌법과 같은 당헌·당규에 이렇게 넣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친한계 한 의원은 "국민은 이미 당 지도부가 사과를 찔끔찔끔한 것에 아무런 감흥이 없고, 또 사과한다 해도 의미가 없다"며 "사과가 아닌 '내부 인적청산을 하겠다' 정도의 행동을 보여줬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최수진 수석대변인은 "비대위 입장은 혁신위와 혁신위원장의 입장을 존중한다는 것"이라며 "혁신위원장에게 모든 책임과 권한 주고, 당을 쇄신하는 업무 맡겼다. (혁신안을) 당연히 존중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이처럼 당내 이견에도 혁신위가 혁신안을 검토할 수밖에 없는건 최근 계속되는 여론조사에서 20% 미만이라는 성적표를 나타내는 등 위기를 타계할 해법이 좀처럼 개진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또 이를 타계하기 위한 방안이 당내 갈등으로 이어지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모양새다.
안재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