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HLB글로벌의 자회사인 프레시코가 콤부차와 발효 곡물을 활용한 효소 제품인 ‘아임얼라이브 카무트 효소’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HLB글로벌에 따르면 이번 제품은 캐나다산 프리미엄 로얄 카무트를 발효시켜 만든 천연 효소로 매우 높은 역가(아밀라아제 100만 유닛·프로테아제 5000 유닛)를 자랑한다. 역가란 1g에 들어 있는 효소가 1분 동안 탄수화물 등 기질을 분해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하는 단위다. 수치가 높을수록 기질 분해 능력이 높다.
카무트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재배했던 곡물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는 미네랄인 ‘셀레늄’이 블루베리에 비해 2000배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식이섬유 함량도 현미보다 3배가량 많다. 카무트를 발효해 만든 천연 효소는 소화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영양 흡수율을 높이며, 장내 유익균 증식에 도움을 줘 소화 건강과 면역력 개선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임얼라이브 카무트 효소’는 카무트 발효 효소 외 다른 기능성 원료도 최적의 배합으로 담았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우선 자사의 유기농 콤부차 원액을 분말화해 20%가량의 비율로 첨가, 유기산과 폴리페놀, 글루크론산 등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성분을 추가했다. 또 단백질 소화를 돕는 브로멜라인 효소와 17종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까지 담아냈다.
프레시코는 이번 제품이 소화 개선은 물론 장 건강과 면역력 강화 등에 특화된 제품인 만큼 기존 ‘아임얼라이브 콤부차’ 구매 고객들의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임얼라이브 카무트 효소는 이달부터 온라인 자사몰을 통해 판매된다.
한정엽 프레시코 상무는 “이번 카무트 효소 제품은 오랜 기간 콤부차 생산을 통해 획득한 당사의 발효 전문성을 접목해 개발한 만큼, 소화 건강을 중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천연 원료를 활용한 고기능성 제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등의 생산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효소 시장은 연평균 38% 이상 성장하고 있다. 또 글로벌 식품 보고서에 의하면 2027년 세계 효소 시장 규모는 16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와 육류 위주의 식습관 등으로 인해 소화 불편을 호소하는 인구가 늘고 있어,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HLB글로벌의 자회사인 프레시코가 콤부차와 발효 곡물을 활용한 효소 제품인 ‘아임얼라이브 카무트 효소’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HLB글로벌에 따르면 이번 제품은 캐나다산 프리미엄 로얄 카무트를 발효시켜 만든 천연 효소로 매우 높은 역가(아밀라아제 100만 유닛·프로테아제 5000 유닛)를 자랑한다. 역가란 1g에 들어 있는 효소가 1분 동안 탄수화물 등 기질을 분해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하는 단위다. 수치가 높을수록 기질 분해 능력이 높다.
카무트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재배했던 곡물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는 미네랄인 ‘셀레늄’이 블루베리에 비해 2000배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식이섬유 함량도 현미보다 3배가량 많다. 카무트를 발효해 만든 천연 효소는 소화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영양 흡수율을 높이며, 장내 유익균 증식에 도움을 줘 소화 건강과 면역력 개선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임얼라이브 카무트 효소’는 카무트 발효 효소 외 다른 기능성 원료도 최적의 배합으로 담았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우선 자사의 유기농 콤부차 원액을 분말화해 20%가량의 비율로 첨가, 유기산과 폴리페놀, 글루크론산 등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성분을 추가했다. 또 단백질 소화를 돕는 브로멜라인 효소와 17종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까지 담아냈다.
프레시코는 이번 제품이 소화 개선은 물론 장 건강과 면역력 강화 등에 특화된 제품인 만큼 기존 ‘아임얼라이브 콤부차’ 구매 고객들의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임얼라이브 카무트 효소는 이달부터 온라인 자사몰을 통해 판매된다.
한정엽 프레시코 상무는 “이번 카무트 효소 제품은 오랜 기간 콤부차 생산을 통해 획득한 당사의 발효 전문성을 접목해 개발한 만큼, 소화 건강을 중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천연 원료를 활용한 고기능성 제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등의 생산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효소 시장은 연평균 38% 이상 성장하고 있다. 또 글로벌 식품 보고서에 의하면 2027년 세계 효소 시장 규모는 16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와 육류 위주의 식습관 등으로 인해 소화 불편을 호소하는 인구가 늘고 있어,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