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일반사회

부산, 15년 이상 노후 주택 전체 70%…신축 아파트 선호 성향 증가

2025-03-27 16:10:28

부산, 15년 이상 노후 주택 전체 70%…신축 아파트 선호 성향 증가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2025년 기준 부산 내 주택 10채 중 7채는 준공 15년을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 전체 주거단지의 노후화가 심각한 가운데 보다 나은 생활환경을 찾기 위한 소비자의 신축 아파트 선호 성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국가통계포털(KOSIS)의 ‘주택의 종류, 연면적 및 건축연도별 주택’ 통계에 따르면 부산의 전체 주택 132만9355가구 중 준공 15년차 이상 노후 주택이 92만1411가구로 전체의 69.3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아파트는 전체 92만155가구 중 60만3852가구가 준공 15년차 이상 노후화된 곳으로, 65.62%에 달한다.

이처럼 부산의 주택 노후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최근 수년간 신규 아파트 공급이 한정된 반면 시장 전반의 노후화가 진행됐기 때문이다.

노후 주택 비중이 높아지자 준공 5년 이하 신축 아파트 단지가 지역 내 가격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20년에 입주한 부산 동래구의 ‘쌍용 더 플래티넘 사직 아시아드’ 전용면적 84.9207㎡는 2024년 2월 13일 9억원에 실거래가 이뤄졌다. 하지만 1년이 지난 2025년 2월 1일에는 전년대비 8.3% 상승한 9억7500만원에 계약돼 7500만원의 차액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0년 입주한 부산 수영구의 ‘광안 자이’ 전용면적 73.67㎡도 2024년 2월 8일 7억원에 거래됐지만, 2025년 2월 4일에는 전년비 7.1% 상승한 7억5000만원에 실거래가 이뤄져 1년간 5000만원의 시세차액이 발생했다.

업계에서는 “원자재 값 인상에 따른 공사비 증가와 이로 인한 한정된 신규 아파트 공급으로 신축 아파트에 대한 희소성이 더욱 높아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분위기”라며 “특히 노후 주택 비중이 높은 지역의 신축 아파트는 기존 인근 생활인프라와 교통환경, 교육환경은 물론 단지 내 다양한 커뮤니티까지 갖추고 있어서 수요자 선호 성향이 더욱더 뚜렷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신축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커지자 올해 상반기 부산 신규 아파트 분양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먼저 부산 동래구 낙민동 일대에서는 에쓰앤디가 시행하고 반도건설이 시공하는 ‘동래 반도유보라’가 오는 28일 견본주택을 열고 본격적인 분양을 시작한다. 해당 단지는 지하 3층~지상 42층, 3개동, 전용 84㎡, 총 400가구로 구성됐다. 부산 지하철 동해선 동래역, 4호선 낙민역, 1호선 교대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어 교통환경이 우수하다. 단지가 들어서는 동래구 낙민동은 동래고, 낙민초 등 명문 학군과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대우건설은 부산 동구 범일동에 ‘블랑 써밋 74’ 오피스텔을 분양 중이다. 해당 단지는 대우건설의 하이엔드 주거브랜드인 푸르지오 써밋이 적용된 초고층 단지로 아파트 3개 동과 오피스텔 1동으로 구성된다. 지하 5층~지상 최고 69층, 3개동 전용면적 94~247㎡ 아파트 998세대 공급됐고, 이번에 84~118㎡ 오피스텔 1개 동 276실을 분양한다.

롯데건설은 부산 해운대구 재송동 일대에 ‘르엘 리버파크 센텀’을 상반기 분양할 계획이다. 해당 단지는 전용면적 84~244㎡, 총 2070가구 규모로 들어서며 동해선 재송역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화 건설부문은 부산 사하구 당리동 일대에 ‘한화포레나 부산 당리’도 상반기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59~115㎡, 총 543가구 중 209가구를 일반 분양하며 부산 지하철 1호선 사하역을 이용할 수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