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일반사회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임대매장비율 증가는 재무구조에 부정적 영향

회생계획안에 점포 매각과 슈퍼마켓 사업부 매각이 포함된다면, 이는 홈플러스의 청산 시기를 연장시킬 뿐.

2025-03-21 09:49:15

(제공=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이미지 확대보기
(제공=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로이슈 전용모 기자] 마트산업노동조합은 홈플러스, 이마트, 롯데마트, 코스트코코리아, 이케아코리아 등 대형마트 노동자들이 조직되어 있으며, 대부분 기업에서 대표교섭노조의 지위를 갖고 있다.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도 2500여명의 조합원이 가입되어 있고, 홈플러스㈜에서 대표교섭노조의 지위가 있다.

최근 홈플러스는 영업이익 감소의 원인으로 최저임금의 단기간 대폭 상승, 코로나19 사태, 국내 유통산업의 온라인 전환 가속화를 지목했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 요인 보다 회생계획서의 본질에는 내부적인 요인이 경영 악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실토했다는 것이다.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에 따르면 2015년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자가 매장 수는 89개에서 56개로 감소했고, 임대 매장 수는 53개에서 70개로 증가했다. 이는 자가 매장 비율이 60.68%에서 44.44%로 감소하고, 임대 매장 비율이 37.32%에서 55.56%로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홈플러스가 재입점을 추진하는 7개 매장을 추가하면 임대 매장 비율은 58%까지 상승하게 되어, 이는 다른 대형마트와 비교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임대 매장 비율 증가는 홈플러스의 재무 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임대료 지출이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악화되었고, 이는 영업이익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김광일 부회장은 정무위원회에서 임대 매장 전환으로 금융 이자를 줄였다고 발언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지적이 있다.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는 "실제로 임대 매장 전환으로 인해 임대료 부담이 증가했고, 이는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현재 6월 12일까지 연장된 회생계획안에 점포 매각과 슈퍼마켓 사업부 매각이 포함된다면, 이는 홈플러스의 청산 시기를 연장시킬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의 경영 악화는 외부 요인이 아니라 내부적인 결정과 전략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현 경영진은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