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감 선거는 정책과 비전경쟁을 통해 어느 후보가 부산교육을 빠른 시일내 정상화하고,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경험과 역량을 지닌 후보인지를 가리는 선거여야 한다."
김석준 후보는 16일 단일화 게임으로 전락한 교육감선거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 후보는 "등록 마감 후 불과 하루가 지난 어제 두 후보가 다시 단일화를 하겠다고 발표했다. 그것도 투표일을 겨우 열흘 남긴 이달 23일까지로 단일화 시한을 정했다고 하니 그 과정과 결과 어디에도 유권자에 대한 예의와 존중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비정상적 행태라 할 것입니다. 유권자들에게 정책을 제시하기보다 단일화에만 목메는 후보들에게 어찌 우리 아이들을 맡길 수 있겠냐"고 밝혔다.
이어 "둘 중 한 후보는 초·중등 교육 현장 경험이 전혀 없다. 예비후보 등록 후에도 유권자를 만나기보다 탄핵 위기에 놓인 권력자를 구하겠다고 서울에 올라가 ‘구속 취소’와 ‘내란 조작’을 외치며 권력자를 위한 시위에 열심이던 분이다. 그런 극단적인 정치 성향을 보이는 분이 ‘중도·보수’ 단일후보가 된 것만으로도 비정상인데 다시 단일화를 한다고 한다"고 했다.
더구나 "보수를 자처하는 타 후보가 있는 상황에서 ‘중도·보수 단일후보’ 운운한 것만으로 이미 중차대한 선거법 위반 소지가 다분한데, 거기서 또 단일화를 한다고 한다. 앞선 4자 단일화 과정에서 떨어진 후보들의 동의를 받은 것인지 매우 의심스럽다. 유권자를 혼란케 하고 유권자들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몰상식과 비정상의 극치이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나머지 한 후보도 그렇다. 부산교육 초유의 교육감 부재상태, 즉 대행체제에서 갑자기 ‘대행의 대행체제’로 부산교육을 표류하게 만들며 선거에 뛰어든 것만으로도 이미 비정상이었다. 그런데 후보등록 하루 만에 단일화를 하겠다고 선언했으니 이는 선거를 그저 게임으로 여긴 몰상식한 일임과 동시에 부산교육감이란 막중한 자리를 새의 깃털만큼이나 가벼운 자리로 전락시킨 비정상적 행태라 할 것이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면서 "저는 이미 네 개의 정책꾸러미를 발표했고 두 개의 정책 꾸러미 발표를 남겨두고 있다. 반면 두 후보의 캠페인은 어제도 단일화, 오늘도 단일화, 내일도 단일화일 뿐 구체적인 정책과 비전은 거의 찾아보기 힘든 모습이다. 그럼에도 다시 선거를 시계 제로의 안개 속으로 몰아넣었다. 교육을 진보와 보수로 나눠 한쪽의 극단적 목소리만 열심히 외치면 이길 수 있을 거라고 믿는 기회주의적 행태와 이념 만능주의 사고는 반드시 사라져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김석준 후보는 "위기의 대한민국, 부산교육 정상화가 시작이다. 이번 부산교육감 선거는 상식과 몰상식, 정상과 비정상을 가리는 선거이다. 상식을 벗어난 극단주의자들의 몰상식과 비정상을 뚫고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현명한 부산시민과 함께 부산교육 제자리로 돌려놓겠다. 대한민국 정상화의 밀알이 될 것이다"고 의지를 내비쳤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