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카이아(Kaia)의 국내외 사업 확장을 위해 설립된 카이아 DLT 재단(Kaia DLT Foundation, 이하 재단)은 라인(LINE) 메신저 내 카이아 기반 미니 디앱(Mini Dapp) 서비스가 출시 한 달 만에 3,500만 명이 넘는 누적 사용자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한국, 일본, 대만, 태국 등 주요 국가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총 약 29억원(200만 달러)의 인앱(In-app) 구매, 5만 5천원(39달러) 가량의 결제 이용자 평균 지출(ARPPU), 13%에 육박하는 유료 사용자 비율(PUR)도 함께 달성했다.
카이아 관계자는 "카이아 블록체인도 효과적으로 확장했다"라며 "라인 메신저 내 다양한 미니 디앱을 수록하는 디앱 포털(Dapp Portal)에서만 300만 개의 디지털 지갑이 신규 개설됐고, 이는 카이아 생태계에 약 1,168% 증가한 737만 이상 신규 지갑으로도 이어졌다"라고 전했따.
라인 메신저 내 디지털 지갑 사용 확산은 카이아 생태계 활성화에도 일부 기여해, 최근 글로벌 웹3 데이터 사이언스 업체 플립사이드(Flipside)는 카이아가 활성 지갑 주소(Active Wallet Address) 측면에서 전세계 세 번째 이더리움(EVM) 블록체인이라고 알린 바 있다. 카이아 온체인 월간 거래(Monthly Transaction)도 124% 증가한 2,738만 건으로 나타났고, 활성 사용자(Active User) 수도 252% 증가한 810만 명에 달했다.
미니 디앱 서비스와 카이아의 빠른 성장세는 라인 메신저를 통해 아시아 소비자들에게 편리한 웹3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재단과 라인 넥스트(LINE NEXT)의 전략이 주효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앱스플라이어(Appsflyer), 아이마크 그룹(IMARC Group) 등에 따르면, 아시아 소비자는 다른 지역보다 40%가량 더 많은 인앱 구매(In-app Purchase, IAP)를 하며, 글로벌 IAP 시장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또한 한국, 일본, 대만, 태국 등 주요 국가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총 약 29억원(200만 달러)의 인앱(In-app) 구매, 5만 5천원(39달러) 가량의 결제 이용자 평균 지출(ARPPU), 13%에 육박하는 유료 사용자 비율(PUR)도 함께 달성했다.
카이아 관계자는 "카이아 블록체인도 효과적으로 확장했다"라며 "라인 메신저 내 다양한 미니 디앱을 수록하는 디앱 포털(Dapp Portal)에서만 300만 개의 디지털 지갑이 신규 개설됐고, 이는 카이아 생태계에 약 1,168% 증가한 737만 이상 신규 지갑으로도 이어졌다"라고 전했따.
라인 메신저 내 디지털 지갑 사용 확산은 카이아 생태계 활성화에도 일부 기여해, 최근 글로벌 웹3 데이터 사이언스 업체 플립사이드(Flipside)는 카이아가 활성 지갑 주소(Active Wallet Address) 측면에서 전세계 세 번째 이더리움(EVM) 블록체인이라고 알린 바 있다. 카이아 온체인 월간 거래(Monthly Transaction)도 124% 증가한 2,738만 건으로 나타났고, 활성 사용자(Active User) 수도 252% 증가한 810만 명에 달했다.
미니 디앱 서비스와 카이아의 빠른 성장세는 라인 메신저를 통해 아시아 소비자들에게 편리한 웹3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재단과 라인 넥스트(LINE NEXT)의 전략이 주효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앱스플라이어(Appsflyer), 아이마크 그룹(IMARC Group) 등에 따르면, 아시아 소비자는 다른 지역보다 40%가량 더 많은 인앱 구매(In-app Purchase, IAP)를 하며, 글로벌 IAP 시장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