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가상화폐·핀테크

한국신용데이터 “4분기 소상공인 매출 반등, 그러나 계절적 요인에 불과”

2025-02-17 23:24:12

한국신용데이터 “4분기 소상공인 매출 반등, 그러나 계절적 요인에 불과”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심준보 기자] 2024년 4분기 소상공인의 매출이 반등했지만, 이는 계절적 요인의 영향으로 근본적인 회복세로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신용데이터(KCD)는 전국 소상공인의 2024년 4분기(10월~12월) 사업 상황을 정리한 ‘한국신용데이터 소상공인 동향 리포트(2024년 4분기)’를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2024년 소상공인의 사업 환경은 어려웠다.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성장하지 못한 0.57% 감소했으나 연간 지출을 무려 전년 대비 4.56% 크게 줄여 연간 이익을 확보했다. 다만, 4분기에는 연말 특수와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매출이 일시적으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4년 4분기 소상공인 평균 매출은 전년 동기(2023년 4분기), 전기(2024년 3분기) 대비 모두 증가했다. 2024년 4분기 소상공인 사업장당 평균 매출은 4,798만원으로 전년 대비 1.07%, 전기 대비 10.77% 증가했다. 지출 비용은 전년 동기 감소했으나 전기 대비는 늘었다. 2024년 4분기 소상공인 사업장당 지출은 3,639만원으로 전년 대비 0.20% 감소, 전기 대비 0.10% 증가했다. 지출을 줄인 덕분에 소상공인의 이익은 늘었다. 2024년 4분기 소상공인 사업장의 이익은 1,158만원으로 전년 대비 5.25%, 전기 대비로는 9.92%를 증가했으나 실질적인 이익 개선 효과는 1% 미만으로 크지 않았다. 업종별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24년 3분기 대비 외식업 중 양식과 아시아 음식의 매출은 늘었지만, 카페는 오히려 9.5%p 감소했다. 서비스 업 중에서는 유일하게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24년 3분기 대비 매출 수준이 하락했다.

강예원 한국신용데이터 데이터 총괄은 “4분기 매출 반등은 연말에 발생하는 계절적 효과에 따른 일시적인 요인으로 보인다”며 “특히 2024년 3분기 대비 업종별 매출 추이를 살펴봤을 때 카페의 매출이 무려 9.5%p 하락한 점은 앞으로도 현재 소비심리가 얼어붙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2024년 4분기 리포트에서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세권 베이커리 시장의 특징을 분석했다. 2호선은 서울에서 유동 인구가 가장 많은 노선으로 특정 역세권을 중심으로 베이커리 시장이 활성화되는 양상이 뚜렷했다.

특히 홍대입구역, 을지로입구역, 역삼역, 강남역 인근의 카페와 베이커리 시장이 가장 크게 활성화되어 있었으며 종합운동장역, 신대방역, 대림역의 활성화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중 가장 유동 인구가 많은 상위 6개 역 주변 카페와 베이커리 시장 규모를 추정했을 때 홍대입구역의 시장 규모가 가장 컸으며 잠실역이 가장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림역은 유동 인구에 비해 전년 동기 및 전기 대비 모두 카페와 베이커리 시장이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신용데이터는 2023년 3분기부터 ‘한국신용데이터 소상공인 동향 리포트’를 제공 중이다. 해당 리포트는 KCD가 운영하는 경영 관리 서비스 ‘캐시노트’를 사용하는 전국 170만 사업장 중 16만 개 사업장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된다. 데이터 추출 대상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소상공인 실태조사 기준을 준용해 선정하며, 캐시노트 서비스 이용 대상과 맞지 않는 제조업 등 일부 업종은 제외됐다.

금융 현황 분석은 국내 유일 전업 개인사업자 신용평가사인 한국평가정보(KCS)의 데이터를 활용해 작성되었다. 이 데이터는 한국신용정보원의 기업 신용공여원장을 바탕으로, 사업자등록증을 보유한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기업 여신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신용데이터는 매 분기 직후 해당 리포트를 발표하고 있으며, 지방 정부 및 소상공인 관련 기관과 협회 요청에 따라 임대료, 여론 동향, 설문 조사 등의 맞춤형 분석 자료도 제공하고 있다. KCD는 전국 170만 소상공인 사업장에 경영관리 서비스 ‘캐시노트’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축적된 경영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상공인 대상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대 규모의 소상공인 경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리은행 등과 협력하여 소상공인 전문 은행 설립을 추진 중이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