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경증은 동네 병의원을 먼저 찾아달라고 홍보하고, 응급의료기관에서 감기나 설사 같은 경증·비응급 상황의 환자를 수용하지 않거나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진료를 거부해도 의료진은 책임을 면할 수 있게 하면서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하는 데 안간힘을 쏟고 있다.
17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연휴 기간 전국 응급실 409곳 중 2곳(충북 충주 건국대충주병원·경기 용인 명주병원)을 뺀 총 407곳이 매일 24시간 운영한다. 추석 당일인 이날 문을 여는 병의원은 1천785곳이다.
방문할 수 있는 응급실과 병의원 목록은 응급의료포털(e-gen) 홈페이지나 129, 120 전화로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 다음 등 포털 사이트나 각 지도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진료하는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경증인 경우 문을 여는 동네 병의원을 찾아서 진료받으면 되지만, 증상이 심각하거나 증상에 대해 혼자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119로 신고해 의학적인 상담받을 수 있다.
상담을 통해 동네 병의원에 가야 하는지, 119 구급대를 불러야 하는지 등에 대한 안내받을 수 있다.
단, 호흡곤란이나 갑작스러운 팔다리 저림, 혀가 마비되어 말을 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는 즉시 119에 신고하는 게 바람직하다.
현장의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진도 연휴를 반납한 채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하는 데 온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일부 환자들이 치료받을 의료기관을 찾고자 여러 곳을 전전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람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충북 청주에서는 25주차 임신부가 '양수가 새고 있다'며 119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병원을 찾지 못한 채 6시간을 구급차 등에서 대기하다 가까스로 치료받은 사실이 알려졌다.
소방당국은 지난 14일 오전 11시 25분께 해당 임신부 사례를 접수한 후 환자를 이송할 병원을 찾았으나 75곳에서 거부당했다.
결국 임신부는 같은 날 오후 5시 32분께서야 청주의 한 여성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받았으며, 현재 산모와 태아 모두 안정적인 상태다.
지난 15일, 광주에서 발생한 손가락 절단 환자는 사고 발생 2시간 만에 전주 수병원으로 이송해 수술받았다.
당시 광주지역 대학병원들과 종합병원 등은 접합수술을 할 수 있는 의사가 다른 수술을 하거나 휴무인 탓에 이 환자를 전주의 병원보다 빠르게 치료할 수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복지부에서도 수지접합 수술은 전국적으로 총 5개 전문병원을 포함해 일부 병원에서만 진료할 수 있는 전문 분야로, 평상시에도 손가락 절단 사고는 인근 종합병원보다는 수술이 가능한 전문병원으로 시도를 넘는 이송이 잦다고 해명한 상태다.
가뜩이나 불안한 와중에 응급실 뺑뺑이 소식마저 겹치다 보니 당장 적시에 치료받지 못하는 게 아닌지를 고민하는 환자와 보호자들이 적지 않다.
지역에 기반을 둔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연휴 기간 문 여는 병원과 응급실 정보를 공유하거나, 가벼운 증상만으로 응급실에 가야 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는 글이 연달아 올라왔다.
'아이 열나는데 해열제로 안 잡히면 응급실 가도 될까요' '아기 손 베였는데 지금 갈 수 있는 응급실 있을까요' 등의 내용이 주를 이뤘다.
경증 환자의 응급실 본인부담금이 대폭 인상되면서 경증·중증을 어떻게 환자 스스로 구분하느냐에 대한 볼멘소리도 크다.
정부는 지난 13일부터 경증 환자가 권역응급의료센터 등 대형병원 응급실에 갈 경우 본인부담금을 기존 50∼60% 수준에서 90%로 인상한 바 있다.
한편, 현재 의료계도 정부와 마찬가지로 경증·비응급 환자의 응급실 방문을 자제해달라고 거듭 호소하고 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