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8일 8월 임시국회에서 일명 '구하라법'과 간호법 등 비쟁점 법안을 처리하기로 합의했으나 당초 진전이 예상됐던 ‘여야정합의체’에 대한 합의는 불발됐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의힘 배준영·더불어민주당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 회동에서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이미지 확대보기사진=연합뉴스
배 수석부대표는 회동 후 "8월 중 얼마 남지 않은 본회의 중에서라도 쟁점이 없는, 꼭 필요한 민생법은 처리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다만 '여야정 민생 협의체(협의기구)' 구성에 대해선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는데 배 수석부대표는 "여야정 협의체 관련된 것은 조금 이견은 있지만 좀 더 숙의하고 협의해나가는 과정을 거쳐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 수석부대표는 "전제조건은 역시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대통령이 모든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는 그런 모습만 있을 때 과연 여야가 발전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안제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의힘 배준영·더불어민주당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 회동에서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배 수석부대표는 회동 후 "8월 중 얼마 남지 않은 본회의 중에서라도 쟁점이 없는, 꼭 필요한 민생법은 처리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다만 '여야정 민생 협의체(협의기구)' 구성에 대해선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는데 배 수석부대표는 "여야정 협의체 관련된 것은 조금 이견은 있지만 좀 더 숙의하고 협의해나가는 과정을 거쳐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 수석부대표는 "전제조건은 역시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대통령이 모든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는 그런 모습만 있을 때 과연 여야가 발전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안제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