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고법 민사24부(재판장 김시철 부장판사, 김옥곤·이동현 고법판사)는 최근 A 씨 등이 B 씨와 C 씨를 상대로 제기한 유류분반환 청구소송 항소심에서 원고일부승소 판결했다고 17일, 밝혔다.
A 씨와 B 씨는 D 씨의 자녀로 D 씨는 2013년 6월 B 씨와 B 씨의 배우자인 C 씨에게 서울시 화양동 부동산 중 절반씩 각각 증여를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해줬지만 D 씨는 다른 자녀에게도 다른 부동산에 관해 증여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했다.
이후 D씨는 2021년 8월, 사망했고 A 씨 등은 자신들의 유류분이 침해됐다고 주장하면서 B 씨와 C 씨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A 씨 등은 “D 씨의 C 씨에 대한 증여는 제1순위 법정상속인인 B 씨의 특별수익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만약 C 씨에 대한 증여가 B 씨의 특별수익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C 씨는 D 씨로부터 수증 당시 유류분권리자인 자신들에게 손해를 가할 것을 알고도 증여를 받았기 때문에 C 씨가 받은 화양동 부동산 중 절반의 지분을 특별수익으로 인정해 유류분 산정의 기초재산에 포함돼야 한다는 주장 한것,
재판부는 이들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재판부는 “B 씨와 C 씨는 법률상 부부로서 D 씨의 증여 당시 동거하면서 경제적 생활공동체를 이루고 있었고, D 씨가 며느리인 C 씨에게 자신의 전체 재산 중 약 48%를 차지하는 화양동 부동산 중 절반을 증여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며 “절반씩 증여한 것은 절세 등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으로 보이고, B 씨에게 직접 증여된 것과 다르지 않는다고 판단돼 B 씨의 특별수익 및 유류분 산정의 기초재산에 포함된다”고 판시했다.
이어 재판부는 "A 씨 등의 C 씨에 대한 예비적 청구는 D 씨의 C 씨에 대한 증여가 B 씨의 특별수익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며 "해당 증여를 C 씨의 특별수익으로 보고 유류분반환을 구하는 것"이라며 "주된 청구를 받아들이는 이상, 이와 양립할 수 없는 관계에 있는 C 씨에 대한 청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