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청와대·국회

윤영찬 의원, “랜섬웨어 5년간 14배 증가...피해 대부분 중소기업”

- 정부, 중소기업 데이터 백업 지원 예산…시행 1년 만에 전면 중단
- 윤 의원, “자체 대응 역량 갖추기 힘든 중소기업…정부 지원 멈추면 안 돼”

2023-10-18 16:09:28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이 지난 11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의사진행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이 지난 11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의사진행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합뉴스)
[로이슈 이상욱 기자] 기업의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공격이 5년 새 14배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랜섬웨어 공격 대부분이 자체 대응 역량을 갖추기 힘든 중소기업을 목표로 행해진다. 하지만 정부는 중소기업의 데이터 백업 지원 예산을 전액 삭감하는 등 대응책 마련을 도외시하고 있다.

국회 과방위 소속 윤영찬 의원(성남시 중원구)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받은 ‘랜섬웨어 피해 신고 건수’ 자료에 따르면, 민간분야를 대상으로 한 랜섬웨어 신고가 2018년 22건에서 지난해엔 325건으로 14.7배 많아졌다. 이 중 253건이 자체 대응 역량을 갖추기 어려운 중소기업에 집중됐다. 올해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으며 피해 대상 역시 대부분 중소기업인 것으로 보인다.
랜섬웨어란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 파일‧드라이브를 암호화해 금전을 요구하는 공격 방식이다. 실제로 경북의 한 자동차 부품 업체는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해커로부터 약 20억 원 상당의 가상화폐 지급을 요구받았다. 비슷한 시기 또 다른 부품업체 2곳도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해커에게 수억원을 지급한 사례도 알려져 있다.

기업은 중요한 데이터를 미리 백업함으로써 업무중지‧데이터유실과 같은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하지만 정부는 중소기업의 데이터 백업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데이터 백업 지원’ 예산을 시행 1년 만에 전액 삭감했다. 당초 정부는 데이터 백업 지원 예산을 1만개 중소기업에 지원한다고 공언했지만 5127개 업체를 지원하는데서 사업이 그쳤다.

KISA 관계자는 ‘중소기업 데이터 백업 지원’ 사업 중단 이유로 “백업 지원만으론 랜섬웨어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중소기업의 특성을 반영해 서비스형보안(SECaaS: Security as a Service, 세카스) 지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하지만 SECaaS는 데이터 백업의 대체재가 아니다. SECaaS는 클라우드를 통해 수요기업이 원하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랜섬웨어와 같은 해킹 공격을 막는 1차 방어 개념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해킹 공격을 100% 막아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1차 보안이 뚫렸을 경우 사후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별도의 공간에 데이터를 보관함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이터 백업은 필수라는 것이다. 이는 곧 데이터 백업과 SECaaS는 서로 대신하는 대체재가 아닌 병행해야 하는 보완재로 보인다.
기업 네트워크에 침투한 해커가 최우선으로 찾아 파괴하려는 것이 백업 시스템이다. 그만큼 랜섬웨어 공격에서 백업 데이터의 존재는 해커의 협상력을 약화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이 예산 부족과 필요성 인식 부족 때문에 데이터 백업을 실행치 못하고 있다. KISA가 발표한 ‘2023 상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랜섬웨어 침해사고를 당한 기업 중 데이터 백업을 진행한 기업은 2023년 상반기 기준 47%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중소기업 데이터 백업을 위한 정부의 지원을 중단해선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윤영찬 의원은 “디지털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데이터의 가치가 급부상하고 있지만, 이를 관리하고 지키기 위한 중소기업의 역량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기업이 건전한 경제 활동을 마음 놓고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는 세심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