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씨디파이(CeDeFi) 프로토콜 네오핀은 이더리움 및 클레이튼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을 출시하며 LSD-Fi 공략을 강화한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이더리움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은 한국 최초 출시다.
네오핀 관계자는 "유동성 스테이킹이란 이더리움, 클레이튼 등 가상자산을 스테이킹(Staking, 가상자산 예치)하고, 그에 상응하는 유동성 토큰을 지급받아 여러 디파이 프로토콜에서 다양하게 자산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스테이킹 서비스다"라고 전했다.
동시에 탈중앙화 방식으로 자산의 입출금 권한은 사용자가 갖게 되어, 타 예치서비스와 다르게 자산이 플랫폼에 묶이는 현상이 애초에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됐다.
네오핀에서 이더리움(ETH)이나 클레이튼(KLAY)을 스테이킹하면, 이더리움 유동성 토큰(npETH) 혹은 클레이튼 유동성 토큰(npKLAY)이 생성되고 이를 다시 재예치할 수 있는 등 활용성이 커지게 된다. 기존 가상자산이 스테이킹 되어 있는 기간 동안 자산을 유동화하여 2차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네오핀은 이더리움,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도입했으며, 스테이킹 과정 전반에 걸쳐 투명성, 보안, 접근성을 보장하며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 출시를 기념해 이벤트도 진행한다.
이더리움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의 경우, 오는 8월 9일까지 5% APY(연간 기대수익률)로 네오핀 토큰(NPT)을 리워드로 제공한다. 클레이튼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 이용시 9월 26일까지 네오핀에서 자체적으로 실시 중인 멤버십 프로모션의 포인트를 2배 적립할 수 있다.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은 지난해부터 이더리움 블록체인 커뮤니티에서 큰 주목을 받으며 등장했다.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네트워크의 합의 메커니즘에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시 스테이킹한 자산을 빠르게 유동화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솔루션에 대한 마켓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네오핀은 스테이킹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안정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프로토콜을 개발했다.
바이낸스 리서치가 지난 6월에 발표한 LSD-Fi에 대한 보고서에 따르면, 유동성 스테이킹 파생상품 위에 구축된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프로토콜인 LSD-Fi는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TVL(Total Value Lock)이 급격히 증가했다. 특히 상위 LSD-Fi 프로토콜의 누적 TVL은 한 달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하며 4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스테이킹 된 이더리움의 성장과 현재 낮은 LSD-Fi 보급률이 거론된다. LSD-Fi 프로토콜의 TVL은 아직 전체 시장의 3% 미만으로 조사됐다.
네오핀은 지난 2017년부터 이더리움, 트론, 카르다노, 코스모스 등 다양한 글로벌 블록체인 노드 밸리데이터(네트워크 검증인) 운영자로 참여하면서 블록체인 전문성과 기술력을 쌓아왔다. 지난해에는 씨디파이(CeDeFi) 프로토콜 네오핀을 출시했으며, 올해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투자진흥청(Abu Dhabi Investment Office, ADIO) 혁신 프로그램 지원 기업으로 선정된 동시에 아부다비 국제금융센터인 ADGM(Abu Dhabi Global Market)과 함께 세계 최초로 디파이 규제안을 민관 협력으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 다방면에서 블록체인과 관련한 핵심 기술을 쌓은 만큼 LSD-Fi 시장 공략을 통해 외형 확장을 이뤄낸다는 계획이다.
네오핀 김보람 CBO(최고 비즈니스 책임자)는 "네오핀의 블록체인 기술과 노드 검증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사용자 친화적이면서도 신뢰도 높은 이더리움의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을 한국 최초로 출시했다”며 "아부다비 국제금융센터인 ADGM(아부다비 글로벌 마켓)과 디파이 규제안을 마련하며 질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LSD-Fi 공략을 통해 외형적인 성장까지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산자부 ‘2023 우수기업연구소’로 발탁
2024년 코스닥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이 산자부 주관 우수기업연구소로 발탁됐다.
혁신형 치료재를 개발 및 수출하는 넥스트바이오메디컬(대표이사 이돈행)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3년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ATC+) 주관기업’에 선정되었다고 12일 밝혔다.
선정배경은 ‘속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재’ 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ATC+(Advanced Technology Center) '는 중소·중견기업 부설연구소에 연구개발(R&D) 역량 향상을 지원·육성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국가연구개발사업이다. 연구소 성장 가능성과 기술사업화 역량을 중점 평가하며 올해는 신정부의 국정과제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AI, 혁신 바이오헬스 기술 등 미래전략사업분야의 과제를 집중해 선정했다.
◆젠틀파파스, 람다256과 NFT 사업 MOU 체결
두나무의 블록체인 자회사 람다256과 NFT솔루션 ‘크로믹스(CROMIX)’를 서비스중인 웹3 전문기업 젠틀파파스가 전략적 업무 제휴(MOU)를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젠틀파파스는 람다256이 운영중인 ‘더 밸런스(The Balance)’프로그램의 기술파트너 참여가 구체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더 밸런스(The Balance)’는 기존 퍼블릭 체인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람다256에서 론칭한 자체 개발한 권위증명(POA) 방식의 컨소시엄 메인넷이다.
젠틀파파스가 서비스중인 ‘크로믹스(CROMIX)’는 블록체인 개발자와 웹3 노하우가 없는 많은 기업들이 NFT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사용자 친화적 솔루션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기존 크로믹스에서 지원하던 이더리움, 폴리곤, 클레이튼에 이어 람다256의 기업용 프라이빗 블록체인 ‘더 밸런스(The Balance)’가 하반기 중 추가 될 예정이며 이로써 크로믹스의 멀티체인 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람다256과의 공동사업으로 그 활용과 범용성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네오핀 관계자는 "유동성 스테이킹이란 이더리움, 클레이튼 등 가상자산을 스테이킹(Staking, 가상자산 예치)하고, 그에 상응하는 유동성 토큰을 지급받아 여러 디파이 프로토콜에서 다양하게 자산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스테이킹 서비스다"라고 전했다.
동시에 탈중앙화 방식으로 자산의 입출금 권한은 사용자가 갖게 되어, 타 예치서비스와 다르게 자산이 플랫폼에 묶이는 현상이 애초에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됐다.
네오핀에서 이더리움(ETH)이나 클레이튼(KLAY)을 스테이킹하면, 이더리움 유동성 토큰(npETH) 혹은 클레이튼 유동성 토큰(npKLAY)이 생성되고 이를 다시 재예치할 수 있는 등 활용성이 커지게 된다. 기존 가상자산이 스테이킹 되어 있는 기간 동안 자산을 유동화하여 2차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네오핀은 이더리움,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도입했으며, 스테이킹 과정 전반에 걸쳐 투명성, 보안, 접근성을 보장하며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 출시를 기념해 이벤트도 진행한다.
이더리움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의 경우, 오는 8월 9일까지 5% APY(연간 기대수익률)로 네오핀 토큰(NPT)을 리워드로 제공한다. 클레이튼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 이용시 9월 26일까지 네오핀에서 자체적으로 실시 중인 멤버십 프로모션의 포인트를 2배 적립할 수 있다.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은 지난해부터 이더리움 블록체인 커뮤니티에서 큰 주목을 받으며 등장했다.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네트워크의 합의 메커니즘에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시 스테이킹한 자산을 빠르게 유동화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솔루션에 대한 마켓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네오핀은 스테이킹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안정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프로토콜을 개발했다.
바이낸스 리서치가 지난 6월에 발표한 LSD-Fi에 대한 보고서에 따르면, 유동성 스테이킹 파생상품 위에 구축된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프로토콜인 LSD-Fi는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TVL(Total Value Lock)이 급격히 증가했다. 특히 상위 LSD-Fi 프로토콜의 누적 TVL은 한 달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하며 4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스테이킹 된 이더리움의 성장과 현재 낮은 LSD-Fi 보급률이 거론된다. LSD-Fi 프로토콜의 TVL은 아직 전체 시장의 3% 미만으로 조사됐다.
네오핀은 지난 2017년부터 이더리움, 트론, 카르다노, 코스모스 등 다양한 글로벌 블록체인 노드 밸리데이터(네트워크 검증인) 운영자로 참여하면서 블록체인 전문성과 기술력을 쌓아왔다. 지난해에는 씨디파이(CeDeFi) 프로토콜 네오핀을 출시했으며, 올해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투자진흥청(Abu Dhabi Investment Office, ADIO) 혁신 프로그램 지원 기업으로 선정된 동시에 아부다비 국제금융센터인 ADGM(Abu Dhabi Global Market)과 함께 세계 최초로 디파이 규제안을 민관 협력으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 다방면에서 블록체인과 관련한 핵심 기술을 쌓은 만큼 LSD-Fi 시장 공략을 통해 외형 확장을 이뤄낸다는 계획이다.
네오핀 김보람 CBO(최고 비즈니스 책임자)는 "네오핀의 블록체인 기술과 노드 검증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사용자 친화적이면서도 신뢰도 높은 이더리움의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을 한국 최초로 출시했다”며 "아부다비 국제금융센터인 ADGM(아부다비 글로벌 마켓)과 디파이 규제안을 마련하며 질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LSD-Fi 공략을 통해 외형적인 성장까지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산자부 ‘2023 우수기업연구소’로 발탁
2024년 코스닥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이 산자부 주관 우수기업연구소로 발탁됐다.
혁신형 치료재를 개발 및 수출하는 넥스트바이오메디컬(대표이사 이돈행)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3년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ATC+) 주관기업’에 선정되었다고 12일 밝혔다.
선정배경은 ‘속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재’ 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ATC+(Advanced Technology Center) '는 중소·중견기업 부설연구소에 연구개발(R&D) 역량 향상을 지원·육성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국가연구개발사업이다. 연구소 성장 가능성과 기술사업화 역량을 중점 평가하며 올해는 신정부의 국정과제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AI, 혁신 바이오헬스 기술 등 미래전략사업분야의 과제를 집중해 선정했다.
◆젠틀파파스, 람다256과 NFT 사업 MOU 체결
두나무의 블록체인 자회사 람다256과 NFT솔루션 ‘크로믹스(CROMIX)’를 서비스중인 웹3 전문기업 젠틀파파스가 전략적 업무 제휴(MOU)를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젠틀파파스는 람다256이 운영중인 ‘더 밸런스(The Balance)’프로그램의 기술파트너 참여가 구체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더 밸런스(The Balance)’는 기존 퍼블릭 체인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람다256에서 론칭한 자체 개발한 권위증명(POA) 방식의 컨소시엄 메인넷이다.
젠틀파파스가 서비스중인 ‘크로믹스(CROMIX)’는 블록체인 개발자와 웹3 노하우가 없는 많은 기업들이 NFT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사용자 친화적 솔루션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기존 크로믹스에서 지원하던 이더리움, 폴리곤, 클레이튼에 이어 람다256의 기업용 프라이빗 블록체인 ‘더 밸런스(The Balance)’가 하반기 중 추가 될 예정이며 이로써 크로믹스의 멀티체인 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람다256과의 공동사업으로 그 활용과 범용성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