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IT·전자·방송·게임

[IT이슈] 하바, 폴리곤 마켓 원플래닛에서 미니 플래닛 노드 NFT 판매 外

2023-04-05 09:28:04

[IT이슈] 하바, 폴리곤 마켓 원플래닛에서 미니 플래닛 노드 NFT 판매 外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편도욱 기자] 인터체인 플랫폼 하바가 폴리곤 기반의 NFT 마켓 플레이스 원플래닛에서 5일 저녁 7시부터 미니 플래닛 NFT 런치패드를 진행한다.

하바는 여러 체인과 서비스에서 발행된 디지털 자산(FT, NFT)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 유틸리티를 확장하고 가치를 증가시키는 인터체인 인프라 플랫폼이다. 23년 1월 11일 정식 오픈한 하바는 투자사 7곳 및 밸리데이터 16곳, 디스코드 15만 돌파, 뉴스레터 구독 32만 확보 등의 지표를 기반으로 글로벌에서 주목받고 있다.

하바 관계자는 "미니 플래닛 NFT 300개를 이번 원플래닛 런치패드를 통해 제공한다"라며 "미니 플래닛은 하바 생태계의 핵심 유지 장치인 플래닛 노드 NFT를 10개로 나눈 것으로, 가격도 10분의 1 수준으로 구매 부담을 낮춰 보다 많은 이용자가 경험할 수 있도록 고안된 특별한 플래닛이다"라고 전했다.

플래닛 소유자들은 거버넌스가 되어 생태계에 기여한 보상으로 '하바 코인(HVH)'을 받는다. 앞서 하바 공식 사이트와 클레이튼 마켓인 팔라(Pala)를 통해 미니 플래닛 1,000개를 모두 완판한 바 있다.

원플래닛은 폴리곤 기반의 NFT 마켓플레이스로 폴리곤 재단의 폴리곤 랩스(Polygon Labs)와 긴밀히 협력하여 여러 NFT 프로젝트들의 폴리곤으로의 이주 및 폴리곤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금일(5일) 저녁 7시부터 원플래닛 런치패드에서 판매될 미니 플래닛은 사전에 지갑 주소가 등록된 유저가 참여할 수 있는 화이트리스트(Whitelist) 방식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퍼블릭 세일로 진행될 예정이다.

임영광 하바 프로젝트 대표는 "최근 공식 협업 관계를 발표한 폴리곤 네트워크에서의 최초 민팅을 원플래닛과 함께 하게 돼 기쁘다. 폴리곤은 글로벌 리드 블록체인 플랫폼일 뿐만 아니라, 하바 생태계 확장에 매우 중요한 파트너이다." 라며 ”이번 사례를 통해 미니플래닛은 3개 네트워크에서 발행 및 판매된다. 앞으로도 하바는 멀티체인 NFT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겠다." 고 밝혔다.

한편 하바는 4월 3일 자체 NFT 특화 브릿징 서비스인 하바 미터에 BNB 네트워크를 추가했다. 기존 클레이튼, 이더리움에 이어 폴리곤과 BNB 네트워크와도 연결되어 보다 편리한 디지털 자산 이동을 가능케 한다는 방침이다.

◆지더블유바이텍, 포스텍 ‘세포막단백질연구소’와 장비 공급 계약 체결

지더블유바이텍([036180], 대표 양재원)은 포스텍 세포막단백질연구소(소장 이지오)에 영국 리파인(Refeyn)사에서 들여온질량 광도계(Mass Photometry)를 납품하는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된 TwoMP 장비의 경우 세포막단백질연구소 이지오 소장(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진행하고 있는 세포막 단백질 연구 및 단백질 구조 분석을 확인하는 연구에 활용될 계획이다. TwoMP는 최첨단 질량 광도계로 전처리 과정없이 단시간 내에 시료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주로 항체 항원간의 결합 반응 확인에 사용하고 있으며 연구 과정에서 짚어내지 못했던 문제점들을 확인하는 등 연구 방향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씨알에스큐브, 비디엠컨설팅 흡수합병

㈜씨알에스큐브(대표 김기돈)는 ㈜비디엠컨설팅(대표 정갑도) 흡수합병을 완료하고 새로운 도약에 나선다고 5일 밝혔다.

양사는 4월 3일 자로 합병에 관한 모든 절차를 마쳤으며, ㈜씨알에스큐브는 존속회사로 남고 ㈜비디엠컨설팅은 소멸회사로 해산한다.

㈜비디엠컨설팅은 국내 최초의 임상 통계 전문 CRO이다. 2006년 설립 이후 400여 개 임상연구의 통계DM업무를 수행하였으며, 현재 수행 중인 과제의 80~90%는 허가용 임상시험이다. 특히, 제약사, CRO와의 협업 경험 및 축적된 노하우와 통계 지식을 바탕으로 국내외 제약사의 통계 자문을 담당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