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코레일에 따르면 일상회복이 시작된 지난 4월부터 철도 이용객이 점차 증가하는 가운데 열차 내 부정승차는 2020년 14만 건, 2021년 17만 건, 올해는 상반기에만 9만여 건에 달하고 있다.
우선 코레일은 빅데이터 정보와 이용내역을 승무원과 실시간 공유해 검표에 활용하고 있다. 부정승차 사례가 많은 △출발 후 승차권 반환 △횟수 차감형 할인카드인 ‘N카드’ 재발행 △정기승차권 반환 후 승차 등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철도서비스 부정이용 방지시스템’은 특허로 등록되며 최첨단 시스템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 이달부터는 ‘QR검표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 반환된 승차권을 즉시 확인해 부정승차를 단속하고 있다.
내달 10일부터는 실수요 고객의 승차권 구매기회를 보호하기 위해 다량의 승차권을 구매한 후 반환하는 경우에도 실시간 경고 알림도 보낼 예정이다.
아울러 코레일은 신용카드 부가서비스 혜택을 얻기 위해 다량의 승차권을 구입한 후 환불하는 경우 신용카드사에 정기적으로 통보 조치하고 있다.
앞서 1월부터는 승차권 다량구매를 방지하기 위해 매크로를 활용한 이상 접속행위에 대해 감시하고, 이상접속 시 비정형화 된 숫자의 입력을 유도하는 등 매크로 실행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코레일은 열차를 타고 휴가지로 이동하거나 관광열차와 여행상품 이용객 증가에 대비해 여름휴가 피크기간인 7월말 8월초(7월 25일~8월 5일) 및 광복절 연휴 기간 중 열차 104회를 증편해 7만2000석을 추가 공급하는 만큼 부정승차 집중 단속에 들어갈 예정이다.
구혁서 코레일 여객마케팅처장은 “정당한 승차권 구매는 즐거운 여행을 위한 첫 걸음으로 고객의 권익을 보호하고 올바른 철도 이용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부정승차 단속과 예방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