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HMM(대표이사 배재훈)이 R&D 강화를 위해 냉장/냉동 컨테이너에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 이하 IoT) 장비를 신규 설치해 시범운영 한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고가의 민감 화물이 증가하면서 글로벌 화주들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냉장/냉동 컨테이너에 IoT 장비를 설치하면 실시간 화물의 위치 파악은 물론 선박에서만 확인 가능했던 온도, 습도, CO2, 진동의 변화 여부 등을 인터넷 환경이 주어진 장소라면 어디서든 확인 및 조절이 가능해진다.
기존에는 선박에서 근무하는 승무원들이 냉장/냉동 컨테이너 화물의 온도를 직접 확인해서 화주에게 정보를 제공해왔다. 특히, 냉장/냉동 컨테이너는 더운 지역과 추운 지역을 통과하는 동안 목적지까지 일정한 온도를 꾸준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HMM은 이번 IoT 장비 도입 후, 1~2년 동안 시뮬레이션 등 시범운영을 거친 후 서비스 도입을 본격화 할 방침이다. 향후 서비스가 도입되면 화물 운송이 더욱 철저히 관리되는 등 서비스 품질이 한층 향상될 전망이다.
우선, HMM은 올해 말까지 총 1,000여개의 냉장 컨테이너에 IoT 장비 설치를 완료할 방침이다. 현재 9월말 기준으로 약 800여개의 신규 냉장 컨테이너에 설치를 완료 했으며, 기존에 사용 중인 기기에도 올해 말까지 약 200여개를 추가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지원할 모니터링 시스템을 12월 말까지 갖추고, 내년부터 결과 분석 및 빅데이터를 축적해, 향후 화주 서비스, 비용절감, 운영개선, 확장성 등 활용 방안을 종합적으로 도출할 방침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최근 고가의 민감 화물이 증가하면서 글로벌 화주들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냉장/냉동 컨테이너에 IoT 장비를 설치하면 실시간 화물의 위치 파악은 물론 선박에서만 확인 가능했던 온도, 습도, CO2, 진동의 변화 여부 등을 인터넷 환경이 주어진 장소라면 어디서든 확인 및 조절이 가능해진다.
기존에는 선박에서 근무하는 승무원들이 냉장/냉동 컨테이너 화물의 온도를 직접 확인해서 화주에게 정보를 제공해왔다. 특히, 냉장/냉동 컨테이너는 더운 지역과 추운 지역을 통과하는 동안 목적지까지 일정한 온도를 꾸준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HMM은 이번 IoT 장비 도입 후, 1~2년 동안 시뮬레이션 등 시범운영을 거친 후 서비스 도입을 본격화 할 방침이다. 향후 서비스가 도입되면 화물 운송이 더욱 철저히 관리되는 등 서비스 품질이 한층 향상될 전망이다.
우선, HMM은 올해 말까지 총 1,000여개의 냉장 컨테이너에 IoT 장비 설치를 완료할 방침이다. 현재 9월말 기준으로 약 800여개의 신규 냉장 컨테이너에 설치를 완료 했으며, 기존에 사용 중인 기기에도 올해 말까지 약 200여개를 추가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지원할 모니터링 시스템을 12월 말까지 갖추고, 내년부터 결과 분석 및 빅데이터를 축적해, 향후 화주 서비스, 비용절감, 운영개선, 확장성 등 활용 방안을 종합적으로 도출할 방침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