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로 종로구, 중구 일대를 아우르는 서울 도심권에 위치한 수익형 부동산은 임대료가 더욱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 도심권(남대문, 동대문, 을지로, 종로)의 집합상가 임대료는 1㎡당 8만700원으로, 서울 전체 평균인 4만7100원 대비 71% 높았으며, 이는 강남권(5만2700원), 영등포신촌(3만6700원), 기타권역(4만3600원)의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오피스도 마찬가지로 동기간 도심권 오피스가 동남권을 포함한 다른 지역보다 높은 임대료를 형성했다. 높은 임대료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타지역 대비 높은 수익을 기대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처럼 도심권 오피스와 상가의 임대료가 높게 형성되면서, 오피스텔도 높은 매매가격에 거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종로구, 중구, 용산구가 포함된 서울 도심권 오피스텔의 평균 매매가격은 3억1183만원으로 서울 권역 중 가장 높았을 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 월간 매매가격지수의 경우 한 차례 보합세를 보이긴 했지만 지난해 7월부터 꾸준히 상승했다. 강남구와 송파구 등이 포함된 동남권이 잠시 하향곡선을 그렸던 것과는 대조되는 결과다.
특히 종로구, 중구 일대는 서울에서 1~2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이에 걸맞는 소형 오피스텔의 수익률이 돋보인다. 지난 4월 도심권의 전용 40㎡ 이하의 수익률은 4.41%를 기록해 강남구가 위치한 동남권(4.1%)보다도 높은 것은 물론, 서울 전체 타입의 평균 수익률인 4.32%를 웃돌았다. 업계에서는 도심권 오피스텔은 사대문 안 여러 관광지와 남산공원, 청계천 등의 녹지환경과도 가까운 탁월한 입지여건이 수익률과 매매가격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과거 서울(한양)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던 서울 도심권 부동산은 1960년대 이후 강남위주의 개발이 이뤄지면서 다소 저평가 받아왔다”며 “하지만 최근 서울 사대문 안 최대 규모의 재정비 사업인 세운지구 개발 사업 등을 통해 일대 미래가치가 주목받으면서 아파트뿐 아니라 오피스텔 등의 수익형 부동산도 수요자들의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1~2인 가구가 가장 많은 중구 및 종로구에 공급되는 오피스텔에 일대 직장인들의 이목이 집중된다.
서울 중구에서는 보라개발(시행)이 ‘엘루이 일루프’ 오피스텔의 홍보관을 열고 현재 선착순 분양 중이다. ‘엘루이 일루프’는 전용 35~45㎡의 오피스텔로 1~2인 가구가 선호하는 1.5룸~2.5룸 평면설계까지 모든 세대에 적용할 계획이며, 고급 호텔에서 만나볼 수 있었던 건식 세면대와 에어드레서 공간을 갖춘 클린케어 스루 구조를 적용해 쾌적한 주거생활을 가능하게 할 전망이다. 이 단지는 을지로 4가역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종로5가역을 모두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트리플 역세권 입지를 갖추고 있는 것은 물론 계약 직후 바로 전매가 가능하고 중도금 전액 무이자, 주택 수 미포함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규모는 지하 2층~지상 11층, 오피스텔 96실과 근린생활시설이 함께 공급된다.
JTK글로벌㈜이 시행하고 정우개발㈜이 시공하는 ‘종로5가역 하이뷰 더(the) 광장’ 오피스텔이 분양중이다. 단지는 서울시 종로구 종로5가에 들어서며, 지하 2층~지상 16층, 오피스텔 294실 전체가 전용면적 18.97㎡로 구성된다.
㈜건물과 사람들(매각대행)은 서울 용산구 동자동에 위치한 ‘트윈시티 남산 오피스텔’을 6월 중 개별 호실 매각(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2015년 2월부터 임대사업을 6년간 안정적으로 운영해 온 오피스텔로 이목이 집중된다. 이 단지는 지하 6층~지상 29층, 전용 21~29㎡ 13개 타입, 총 567실 규모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