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등록된 오피스텔 분양정보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에는 오피스텔 56곳, 2만7138실이 공급됐으며 청약자 총 36만3982명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공급된 70곳, 3만3635실보다 적은 물량이지만 총청약자 수는 무려 26만8250명, 약 3.8배 증가한 기록이다.
오피스텔의 거래량도 늘었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작년 거래된 오피스텔의 수는 총 16만1642건으로, 2019년(14만9878건)보다 7.85%가량 증가했다. 지난해 7월 발표된 부동산 대책으로 아파트의 주택임대사업자는 사실상 폐지됐지만, 오피스텔은 기존과 같이 등록할 수 있으며 오피스텔의 분양권도 취득세 및 양도세 산정 시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는 등 투자자들에게 유리한 각종 혜택이 남아있다.
그렇다보니 최근 오피스텔 가격 상승률이 아파트를 넘어서는 등 시장의 지표도 변화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올해 2월 기준, 오피스텔의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21.8% 상승했으며, 같은 기간 아파트의 가격 상승률(10%)보다 11.8p 더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소형 오피스텔은 장기화되는 저금리 기조 속에 이자보다 높은 임대 수익률을 누릴 수 있어 인기가 꾸준하며, 중대형 오피스텔은 최근 주거 대안으로 떠오르며 수요가 급증해 시세차익까지 노려볼 수 있다”며 “하지만 오피스텔은 사용 용도별로 세금 부담이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보유세 여부를 잘 따지는 등 신중한 투자 계획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런 가운데 올봄에도 전국에서 신규 오피스텔의 공급이 이어지고 있어 눈길을 끈다.
서울에서는 효성중공업이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에 ‘해링턴 타워 서초’ 오피스텔(전용면적 18~49㎡) 285실을 4월 분양한다. 서울지하철 3호선 남부터미널역이 도보 2~3분 거리의 역세권인 데다 강남의 업무중심지여서 임대수요도 풍부하다. 특히 1~2인 가구 선호도가 높은 2룸형 위주의 주거용 상품으로 꾸며져 관심이 쏠린다.
같은 달 현대건설도 서울 동대문구 장안동에 ‘힐스테이트 장안 센트럴’ 오피스텔(전용면적 38~78㎡) 369실을 선보일 계획이다. 오피스텔 인근에는 내부순환도로, 동부간선도로 등 도로망이 잘 갖춰져 있어 자가용과 대중교통 이용이 쉽다.
인천에서는 포스코건설이 연수구에 ‘더샵 송도아크베이’ 오피스텔(전용면적 84㎡) 225실을 4월 분양할 예정이다. 인천 지하철 1호선 국제업무지구역과 가까운 역세권 단지로 인천 도심 및 수도권 이동이 편리하다.
대구에서는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 달성공원역’ 오피스텔(전용면적 84㎡) 72실이 4월 5일 청약을 앞두고 있다. 이 오피스텔은 대구의 신흥주거지로 떠오르고 있는 태평로 일대에 들어서며, 대구지하철 3호선 달성공원역과 인접한 역세권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