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애 의원실에서 질병관리청에 해당 발언에 대한 근거를 확인한 결과, 접종 7일내 사망자는 과거 한번도 언급없던 급조된 통계를 기반한 것이었고, 독감사망자 3000명은 과거 2003~2013년 인플루엔자 초과사망률 연구 결과 인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8년 질본의 정책연구용역(인플루엔자로 인한 질병부담 분석) 결과는 2013~2108년 독감 관련 초과사망자는 연평균 912명으로 3000명과는 3배가 넘는 차이를 보였고, 통계청의 최근 10년간 인플루엔자로 인한 사망자와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인플루엔자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10년 95명 ▲2011년 71명 ▲2012년 99명 ▲2013년 42명 ▲2014년 124명 ▲2015년 238명 ▲2016년 223명 ▲2017년 262명 ▲2018년 720명 ▲2019년 252명이다.
김미애 의원은 “독감백신 접종 후 다수의 사망신고가 접수되자 방역당국에서 접종의 안정성을 강조하기 위해 무리하게 대응한 측면이 있다”면서 “이처럼 즉흥적이고 단편적이며 1차원적 대응으로는 작금의 불안·불신을 해소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 국감에서 여러 차례 지적됐듯이 사망자가 발생한 독감백신(동일제조번호)만이라도 당국이 수거하여 검정 당시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 ‘안심하고 맞으라’는 말만 앵무새처럼 반복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행동과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