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조폐공사가 경북 성주군·고령군과 손잡고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지역상품권)을 선보인다.
조용만 조폐공사 사장은 2일 오전 성주군청에서 이병환 성주군수 와 성주사랑상품권 발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오후에는 고령군청에서 곽용환 고령군수와 고령사랑상품권 발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조폐공사와 성주군·고령군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보안성이 뛰어난 카드형 지역상품권을 지역 군민에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됐다.
카드형 지역상품권은 농협은행을 방문해 발급하거나 은행 방문없이 조폐공사 스마트폰 앱(App) 지역상품권 ‘chak(착)’에서 살 수 있다. 카드 결제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간편하게 구매 가능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용만 사장은 “시민과 소상공인들이 더 쉽고 편하게 지역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며 “지자체의 행정 효율성도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폐공사는 지역상품권의 지자체 보급을 확대하고 국가 재난시 정부 지원금의 신속한 지급을 돕기 위해 카드형 및 모바일 상품권을 발행하려는 지자체에 대해 내년 6월까지 최소 서비스 수수료율(0.3%)을 적용중이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조용만 조폐공사 사장은 2일 오전 성주군청에서 이병환 성주군수 와 성주사랑상품권 발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오후에는 고령군청에서 곽용환 고령군수와 고령사랑상품권 발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조폐공사와 성주군·고령군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보안성이 뛰어난 카드형 지역상품권을 지역 군민에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됐다.
카드형 지역상품권은 농협은행을 방문해 발급하거나 은행 방문없이 조폐공사 스마트폰 앱(App) 지역상품권 ‘chak(착)’에서 살 수 있다. 카드 결제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간편하게 구매 가능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용만 사장은 “시민과 소상공인들이 더 쉽고 편하게 지역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며 “지자체의 행정 효율성도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폐공사는 지역상품권의 지자체 보급을 확대하고 국가 재난시 정부 지원금의 신속한 지급을 돕기 위해 카드형 및 모바일 상품권을 발행하려는 지자체에 대해 내년 6월까지 최소 서비스 수수료율(0.3%)을 적용중이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