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교수는 6월 25일 tbs-R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고정 출연해 “북한의 이번 도발은 심각한 경제난이 근본 원인이기 때문에, 문 대통령께서 보건지원을 말씀하신 것처럼 민간단체와 지방정부 차원의 지원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특히 미국을 잘 설득해 인도적 차원의 식량 지원은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고 했다.
박 교수는 볼턴 회고록에 대해 “역설적으로 남북미 관계 개선을 위한 ‘한반도 운전자’로서의 문 대통령의 악전고투가 입증된 계기”라며 “17일 청와대 오찬에서 ‘북미정상 간 신뢰는 유지되지만, 미 실무진의 반대로 어려운 상황’이라는 문 대통령 말씀이 볼턴 회고록을 통해 증명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볼턴 회고록이 이번 김정은 위원장의 대남 군사 조치 보류에 일정 부분 긍정적 요소로 작용했을 것”이라며 “최근 남북관계 경색의 주요 원인이었던 김정은 위원장의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불신이 어느정도 해소됐을 수 있다”고 했다.
박 교수는 원 구성과 관련된 질문에 “통합당의 주장대로 부의장 1석과 7석의 상임위원장을 포기하게 되면, 후반기까지 총 16명의 중진의원들이 상임위원장 및 국회부의장을 맡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다. 그렇게 되면 통합당은 국회 운영과 지역구 등에서 상당한 곤란을 겪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지원 교수는 추후 원 구성 협상에 대한 질문에 “오늘 중으로 반드시 합의를 마치고, 7월 4일 임시국회 종료될까지 코로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3차 추경을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며 “만약 결렬된다면 민주당은 18석을 다 차지하는 한이 있더라도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강하게 밀어부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