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조폐공사가 ‘상품권 통합관리서비스’를 통해 지역사랑상품권(지역상품권) 부정유통 예방에 나선다.
조폐공사는 ‘지역상품권 이상거래 탐지기술’을 개발, ‘상품권 통합관리 서비스’에 추가 제공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최근 지류(종이) 지역상품권이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이나 지방자치단체(지자체)의 각종 복지수당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일부 부정유통 행위(속칭 ‘깡’)가 나타난 데 따른 것이다.
조폐공사가 지자체에 제공하고 있는 ‘상품권 통합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면 상품권의 제조·공급뿐 아니라 판매·환전 등 전 과정의 유통관리가 가능하다. 여기에 ‘상품권 깡’을 효과적으로 감시·추적할 수 있는 ‘이상거래 탐지기능’을 추가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상거래 탐지기능은 각 지자체가 시스템상에 지역상품권 유통기준을 설정해두면 부정유통으로 의심되는 사례를 탐지, ▲해당 가맹점의 상호 및 업종 ▲이상거래 발생일자 등을 바로 출력할 수 있게 해준다고 설명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깡’ 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과 달리 종이 상품권의 경우 부정유통 우려가 적지 않았다”며 “이상거래 탐지기능 덕에 걱정을 한결 덜었다”고 말했다.
오는 7월 ‘상품권 깡’에 대한 처벌 규정이 담긴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대한 법률’이 시행되면 조폐공사의 ‘이상거래 탐지기술’이 ‘상품권 깡’ 근절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조폐공사 조용만 사장은 “지역상품권 서비스의 질을 높여 소상공인과 지역경제 살리기에 최대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조폐공사는 ‘지역상품권 이상거래 탐지기술’을 개발, ‘상품권 통합관리 서비스’에 추가 제공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최근 지류(종이) 지역상품권이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이나 지방자치단체(지자체)의 각종 복지수당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일부 부정유통 행위(속칭 ‘깡’)가 나타난 데 따른 것이다.
조폐공사가 지자체에 제공하고 있는 ‘상품권 통합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면 상품권의 제조·공급뿐 아니라 판매·환전 등 전 과정의 유통관리가 가능하다. 여기에 ‘상품권 깡’을 효과적으로 감시·추적할 수 있는 ‘이상거래 탐지기능’을 추가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상거래 탐지기능은 각 지자체가 시스템상에 지역상품권 유통기준을 설정해두면 부정유통으로 의심되는 사례를 탐지, ▲해당 가맹점의 상호 및 업종 ▲이상거래 발생일자 등을 바로 출력할 수 있게 해준다고 설명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깡’ 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과 달리 종이 상품권의 경우 부정유통 우려가 적지 않았다”며 “이상거래 탐지기능 덕에 걱정을 한결 덜었다”고 말했다.
오는 7월 ‘상품권 깡’에 대한 처벌 규정이 담긴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대한 법률’이 시행되면 조폐공사의 ‘이상거래 탐지기술’이 ‘상품권 깡’ 근절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조폐공사 조용만 사장은 “지역상품권 서비스의 질을 높여 소상공인과 지역경제 살리기에 최대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