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신한금융그룹이 ‘한국판 뉴딜정책’ 지원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신한금융그룹(회장 조용병)은 8일 금융권 최초로 Post 코로나 시대 국가 경제 新성장 동력 발굴을 지원하기 위한 ‘신한 N.E.O. Project’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N.E.O.는 New Economic growth supporting Operations의 약자로 Post 코로나 시대에 국가 경제의 新 성장동력 발굴을 신한이 금융을 통해 체계적으로 지원해 가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판 뉴딜정책’을 적극 지원하기 위한 금융의 뉴딜정책인 ‘신한 N.E.O. Project’는 '新 성장산업 금융지원', '新 디지털금융 선도', '新 성장생태계 조성'의 3대 핵심방향으로 추진된다.
먼저, '新 성장산업 금융지원'은 신한금융이 국가 新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산업群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 디지털 인프라, SOC 디지털化, 친환경 등 미래 유망 산업을 대상으로, 기술평가 활용 강화, IP 담보대출 활성화, 비금융 신용평가 등을 통해 비대면/Green 관련 창업/중소기업의 대출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신한 N.E.O. Project’의 대상이 되는 주요 산업群을 ‘Shinhan SVMF’에 대입해 나온 결과를 토대로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섹터 및 기업에 우선적으로 자금을 공급해, '新 성장산업 금융지원'프로젝트의 사회적 가치 창출 효과를 극대화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新 성장산업에 대한 직/간접 투자도 늘릴 계획이다. 벤처캐피탈 출자를 통해 신성장 생태계에 자금을 공급하는 한편, GIB 사업부문의 투자기능을 활용해 정부/지자체의 스마트도시 조성 사업을 지원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신한금융은 기존 혁신성장 대출/투자 공급액을 현재보다 20조원 이상 늘려 향후 5년간 85조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또 금융산업 자체의 Digital 가속화를 통해 디지털 경제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한 '新 디지털금융 선도'를 적극 추진한다.
신한금융은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생태계를 강화하는 <디지털 뉴딜>에 맞춰, 그룹이 보유한 방대한 금융 데이터를 바탕으로 금융 데이터 거래소 활성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겠다는 것이다. 또한 14만개 규모의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여신심사, SOHO 플랫폼 등 금융 서비스를 한층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新 성장생태계 조성'은 디지털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산업과 금융이 결합한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한다.
신한금융은 Korea Cross Country, Korea to Global, K-Unicorn으로 구성된 ‘신한 Triple-K 프로젝트’를 통해 거점 별 스타트업 지원 플랫폼을 계속 조성해, 서울 ‘두드림스페이스’, 대전 ‘D-Bridge’, 인천 ‘스타트업파크’를 잇는 전국 단위의 혁신 성장 플랫폼을 완성해 나갈 계획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신한금융그룹(회장 조용병)은 8일 금융권 최초로 Post 코로나 시대 국가 경제 新성장 동력 발굴을 지원하기 위한 ‘신한 N.E.O. Project’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N.E.O.는 New Economic growth supporting Operations의 약자로 Post 코로나 시대에 국가 경제의 新 성장동력 발굴을 신한이 금융을 통해 체계적으로 지원해 가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판 뉴딜정책’을 적극 지원하기 위한 금융의 뉴딜정책인 ‘신한 N.E.O. Project’는 '新 성장산업 금융지원', '新 디지털금융 선도', '新 성장생태계 조성'의 3대 핵심방향으로 추진된다.
먼저, '新 성장산업 금융지원'은 신한금융이 국가 新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산업群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 디지털 인프라, SOC 디지털化, 친환경 등 미래 유망 산업을 대상으로, 기술평가 활용 강화, IP 담보대출 활성화, 비금융 신용평가 등을 통해 비대면/Green 관련 창업/중소기업의 대출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신한 N.E.O. Project’의 대상이 되는 주요 산업群을 ‘Shinhan SVMF’에 대입해 나온 결과를 토대로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섹터 및 기업에 우선적으로 자금을 공급해, '新 성장산업 금융지원'프로젝트의 사회적 가치 창출 효과를 극대화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新 성장산업에 대한 직/간접 투자도 늘릴 계획이다. 벤처캐피탈 출자를 통해 신성장 생태계에 자금을 공급하는 한편, GIB 사업부문의 투자기능을 활용해 정부/지자체의 스마트도시 조성 사업을 지원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신한금융은 기존 혁신성장 대출/투자 공급액을 현재보다 20조원 이상 늘려 향후 5년간 85조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또 금융산업 자체의 Digital 가속화를 통해 디지털 경제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한 '新 디지털금융 선도'를 적극 추진한다.
신한금융은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생태계를 강화하는 <디지털 뉴딜>에 맞춰, 그룹이 보유한 방대한 금융 데이터를 바탕으로 금융 데이터 거래소 활성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겠다는 것이다. 또한 14만개 규모의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여신심사, SOHO 플랫폼 등 금융 서비스를 한층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新 성장생태계 조성'은 디지털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산업과 금융이 결합한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한다.
신한금융은 Korea Cross Country, Korea to Global, K-Unicorn으로 구성된 ‘신한 Triple-K 프로젝트’를 통해 거점 별 스타트업 지원 플랫폼을 계속 조성해, 서울 ‘두드림스페이스’, 대전 ‘D-Bridge’, 인천 ‘스타트업파크’를 잇는 전국 단위의 혁신 성장 플랫폼을 완성해 나갈 계획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