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일반사회

탈핵시민행동·고준위핵폐기물전국회의·탈핵부산시민연대, 월성핵발전소 맥스터 건설 백지화 촉구

울산 북구주민투표 승리 기원

2020-05-14 00:42:47

전국 탈핵·시민시회단체가 13일 울산시청프레스센터에서 울산북구주민투표 지지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사진제공=울산주민투표운동본부)이미지 확대보기
전국 탈핵·시민시회단체가 13일 울산시청프레스센터에서 울산북구주민투표 지지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사진제공=울산주민투표운동본부)
[로이슈 전용모 기자] 탈핵시민행동, 고준위핵폐기물 전국회의, 탈핵부산시민연대는 13일 울산시청프레스센터에서 울산주민투표 지지 기자회견을 열어 월성핵발전소 맥스터 건설 백지화를 촉구하고 울산 북구주민투표 승리를 기원했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장의 진행으로 황대권 고준위핵폐기물 전국회의 공동대표의 여는 말, 윤한섭 월성핵쓰레기장반대 주민투표 울산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의 발언, 이상홍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 집행위원장의 발언, 남영란 탈핵부산시민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의 발언에 이어 기자회견문 낭독은 임준형 핵없는세상을위한한국그리스도인연대 사무국장, 김지은 탈핵전북연대 공동집행위원장, 공혜원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지원팀장이 했다.

오는 6월 5, 6일 울산 북구에서 월성 핵발전소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맥스터) 건설에 대한 찬반 주민투표가 진행된다.

울산 북구의 경우 경주 월성핵발전소에서 불과 8km 거리에 인접해 있어 직접적인 피해 당사자가 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논의에서 완전히 배제돼 있다. 그동안 정부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에 울산 시민들과 의회, 지방정부는 울산 시민들이 월성핵발전소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과 관련한 논의 참여를 계속 요청했지만 모두 무시됐다. 결국 스스로 의사를 표현할 방법으로 울산시민들은 주민투표를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이번 주민투표는 최종처분장도 없이 포화상태에 이른 고준위핵폐기물 문제를 미래로만 떠넘기는 것에 대한 저항이며, 현재 밀실에서 졸속적으로 진행 중인 사용후핵연료 재검토를 바로잡기 위함이다.

이들 단체는 "우리는 핵발전소 가동만을 위해 위험한 핵폐기물을 무작정 양산하는 정부정책에 맞서 시민의 안전을 위해 민주적 의견수렴에 나선 울산 북구 주민들의 이번 주민투표를 지지한다. 핵발전소 안에 불안하게 보관하던 핵쓰레기가 더 이상 둘 곳이 없을 정도로 가득 찼다. 그런데도 영구처분장이나 다름없는 임시저장시설만 계속 짓는 것은 위험만 늘리고 미래로 책임을 떠넘기는 최악의 선택이다"고 지적했다.

월성핵발전소는 그 자체로도 문제가 많다. 고준위핵폐기물도 다른 핵발전소에 비해 4.5배나 많이 나오며, 국내 최대 지진 위험 지역인 경주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월성 1~4호기는 국내 핵발전소 중 가장 낮은 내진설계를 갖고 있으며 내진 보강 자체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더구나 방사능 삼중수소 역시 국내 핵발전소 중 월성에서 가장 많이 배출되어, 이로 인한 피폭으로 많은 주민들이 암발병 등 피해를 호소하며 이주를 요구하고 있다. 경주 시민들도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맥스터 건설을 반대하며, 월성핵발전소 폐쇄를 이야기하고 있다고 했다.

이들 단체는 "더 이상 핵폐기물의 문제를 핵발전소 지역에만 떠넘겨서는 안된다. 또한 당장의 핵발전소 가동만을 목적으로 대책도 없이 임시저장시설을 늘리는 것만 강요하는 공론화는 중단되어야 한다. 핵폐기물 대책이 없다면, 핵발전소 멈추고 폐쇄하는 게 순리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번 울산북구 주민투표가 잘못된 핵폐기물 관리정책을 바로 잡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는 월성핵발전소 맥스터 건설 반대 운동에 전국의 시민들과 함께 할 것이다. 모두의 안전과 민주주의를 위해 나선 울산 시민들을 지지하며 주민투표 승리를 기원한다"고 입을 모았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