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개 지역구에 출마한 28명의 후보 중 15명(원내정당 16명 중 10명, 원외정당 및 무소속 12명 중 5명) 답변을 해왔다고 했다.
지난 3월 19일 4‧15총선을 앞두고 울산지역의 5개 시민사회단체 연대체(울산건강연대, 울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울산에너지전환네트워크,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4·15총선혐오대응울산네트워크)는 각 후보자들에게 울산지역의 현안해결을 위한 공동시민의제를 제안했다.
원내정당 후보 16명 중 9명이 답변을 했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은 83%가 답변했다. 중구의 임동호 ‧ 남구갑 심규명·남구을 박성진 ‧ 동구 김태선 ‧ 울주 김영문 후보였다.
미래통합당(이하 통합당)은 33%가 답변했다. 중구의 박성민 ‧ 남구갑 이채익 후보이다. 민생당은 남구갑의 강석구 후보가 답변했다. 정의당은 북구 김진영 후보가, 민중당은 동구 김종훈 후보가 답변했다.
원외 및 무소속 후보 12명 중 5명이 답변을 했다. 노동당은 2명(중구 이향희, 동구 하창민) 모두, 국가혁명배당금당(이하 배당금당)은 1명(남구을 박병옥)이, 무소속 2명(북구 박재묵, 울주 전상환)이 답변을 했다.
한편 미답변 후보는 중구 송난희(배당), 이철수(무), 이수복(배당), 남구을 김기현(통합), 동구 권명호(통합), 우동열(배당), 북구 이상헌(민주), 박대동(통합), 김도현(민생), 최형준(배당), 박영수(무), 울주 서범수(통합), 고진복(배당).
5개 시민사회연대체는 5대 공동지역의제 <①울산의료원 설립, ②경주 고준위 핵폐기물 임시저장시설 관련 울산시민 의견수렴, ③지역고용위기 대응방안, ④기후위기 대응방안, ⑤혐오와 차별반대를 위한 법적장치 마련>를 질의했다. 이중 ③의 경우 정책답변을 요구했고, 이외에는 찬반형태로 질의했다.
먼저 ‘울산의료원 설립’에 대해서는 93%가 찬성했다.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종합병원급 시설의 필요성과 감염병 컨트롤 타워의 중요성 등을 확인한 결과로 보인다.
‘경주 고준위 핵폐기물 임시저장시설에 대한 울산시민 의견수렴’에 대해서는 86%의 후보가 찬성했다. 원전정책에 대한 후보의 찬반입장을 떠나 울산시민에게 직접적이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임에도 단지 관할 구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어떤 의견도 반영되지 않는 현재의 행정절차에 문제인식을 같이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위기대응’에는 93%의 후보가 찬성했다. ‘혐오와 차별반대를 위한 법적장치 마련’에도 86%가 찬성했다.
‘고용위기’에 대한 각 후보자의 정책 혹은 의견을 서술형태로 물은 것에는 9명의 후보가 답을 해왔다. 경제와 일자리라는 중요한 사안임에도 전체 답변자 14명 중 9명이 답했다는 것에 심각성을 느낀다.
4차 산업혁명과 지역산업구조 개편, 원하청 공생발전과 고용안전망 등 경제구조변동과 특히나 코로나19로 더 촉발되고 있는 경제/고용 위기에 대한 국회의원 후보의 대응이 부족하다고 보여진다.
시민사회단체 연대체는 “이번 선거는 코로나19라는 세계적 감염병 사태 속에서 치러지는 터라 대면유세 등이 극히 제한적이다. 거대 2개 정당의 위장정당 논란으로 정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아져 있어, 역대 최저 투표율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각 후보들이 선관위 토론회 외 언론사 주관 토론회에도 나서지 않으려해, 각 후보들이 어떤 정책으로, 얼마만큼의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 알기가 쉽지 않다. 심지어 대체 누가 나왔는지도 모를 지경이다”고 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지역시민사회단체들이 공동으로 제안한 지역의제 질의에 조차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시민의 공복을 자처하면서 정작 시민의 알권리를 무시하는 태도는 정치의 질적 퇴행에 앞서고 있는 것과 다름없다. 공적인 질문에 답하지 않는 후보들에게는 유권자들의 분명한 판단과 심판이 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내용은 울산시민연대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