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4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확진 사례의 99%가 중국에서 나왔다며 지나친 우려에 빠져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5일 WHO에 따르면 게브레예수스 총장은 이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관련 브리핑에서 회원국들에 여행·교역 제한 자제와 정보 공유, 민관 협력을 통한 신속한 백신 개발 등을 거듭 촉구했다.
그는 "모든 국가들에 국제보건규정(IHR)에 부합하지 않는 (여행·교역의) 제한을 부과해선 안 된다는 요청을 반복한다"며 "이런 제한은 두려움과 오명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낼 뿐 공공 보건 혜택은 적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까지 22개국이 이 같은 제한을 WHO에 보고했다"면서 "해당 조치가 취해진 곳들은 공공 보건 위험에 비례하도록 이행 기간을 짧게 두고 상황이 전개됨에 따라 정기적인 재고를 하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WHO 기준 이날 오후까지 중국 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진 사례는 2만 471건으로 사망자는 425명이다. 중국 밖에서는 24개국에서 176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필리핀에서 한 명이 사망했다.
게브레예수스 총장은 "99%의 사례가 중국 안에서 발생했고 사망자 97%가 (발원지인) 후베이성에서 나왔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며 "이는 여전히 중국에 대해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비상 사태"라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5일 WHO에 따르면 게브레예수스 총장은 이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관련 브리핑에서 회원국들에 여행·교역 제한 자제와 정보 공유, 민관 협력을 통한 신속한 백신 개발 등을 거듭 촉구했다.
그는 "모든 국가들에 국제보건규정(IHR)에 부합하지 않는 (여행·교역의) 제한을 부과해선 안 된다는 요청을 반복한다"며 "이런 제한은 두려움과 오명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낼 뿐 공공 보건 혜택은 적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까지 22개국이 이 같은 제한을 WHO에 보고했다"면서 "해당 조치가 취해진 곳들은 공공 보건 위험에 비례하도록 이행 기간을 짧게 두고 상황이 전개됨에 따라 정기적인 재고를 하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WHO 기준 이날 오후까지 중국 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진 사례는 2만 471건으로 사망자는 425명이다. 중국 밖에서는 24개국에서 176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필리핀에서 한 명이 사망했다.
게브레예수스 총장은 "99%의 사례가 중국 안에서 발생했고 사망자 97%가 (발원지인) 후베이성에서 나왔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며 "이는 여전히 중국에 대해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비상 사태"라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