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금투에 따르면 RPA란 사람이 업무를 하는 방식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동화 하는 솔루션을 말한다. RPA 도입으로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생산성도 높여주고 있다.
신한금융투자가 RPA를 도입하여 가장 큰 업무 시간 절감 효과를 본 부문은 리스크관리 부문이다. 기존에는 수작업으로 처리하거나 일부만 전산화되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던 신규상장 종목의 법인등록번호나 상장종목의 분기별 재무정보 등 수집 업무를 이번 RPA도입으로 로봇이 처리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습득하고 신속히 정보 업데이트를 할 수 있게 되어 7,000여시간 절감에 성공하였고 절감된 시간 동안 리스크관리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또한 일일 지점 현황 분석에서도 각 지점에서 매일 접수되는 영업현황 자료를 취합하고, 취합된 자료의 오류를 정리하여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어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외에도 IB업무에서 채권 및 신규상장기업에 대한 세부정보 수집과 신고서 작성 업무들이 실행버튼 한번으로 자동으로 진행된다.
업무자동화는 디지털, ICT, 보안, 컴플라이언스 등 관련부서 협의체가 구성되어 자동화 업무의 발굴부터 다양한 시각에서 검토되고 적용한다.
신한금융투자 현주미 디지털사업본부장은 "RPA는 기존 전산개발의 제약을 보완하고 다양한 업무영역에 적용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며 “향후에도 적용방식을 보완하고 AI 등 신기술을 접목하여 지속적으로 적용업무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