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부발전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사장 취임한 직후 김병숙 사장이 가장 먼저 주력하기 시작한 분야가 발전설비 외산 기자재 국산화였다. 발전사 최초로 국산화 관련 전담부서인 ‘국산화부’를 신설, 국산화의 현주소를 파악한뒤 ‘중장기 국산화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알렸다.
로드맵에 따라 서부발전은 지난해 국내외 발전시장의 미래 동향과 핵심부품 기술 트렌드, 국산화 현장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고전 6,500여건의 국산화 품목을 선정하고, 제조기술의난이도와 파급효과 등을 고려하여 2030년까지 ‘발전설비 외산 기자재, 원천기술 국산화 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발전산업분야 신규 진출 희망 기업들에게 ‘국산화현장설명회’를 정기적으로 개최, 진입장벽 해소 ▲서부발전이 가동 중인 발전설비를 통해 시제품을 실증할 수 있도록 Test-bed를 지원, ‘실증 확인서’ 발급을 통한 판로개척 지원 예정 ▲‘국산화위원회’를 설치, 국산화실패에 대한 면책이 가능케 해 현장실무자들의 국산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해소 ▲국산화에 성공한 경우 그 성과를 제도적으로 보상, ‘국산화 성과보상제도’ 도입 통해 도전의지 격려 등 실질적인 국산화가 추진되도록 원동력을 부여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서부발전은 국산화 중장기 로드맵 수립 이후 현재까지 81건의 국산화 개발을 완료하여 현장에 적용했고 73.9억원의 유형성과를 창출한 바 있다고 전했다.
국산화 추진방식은 기술개발 난이도와 중요도가 높은 증기터빈 핵심부품과 미분기 등은 'R&D 국산화'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주기적으로 현장 교체빈도가 높은 복합화력 발전용 필터와 밸브 등은 '현장 국산화' 방식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부발전 김병숙 사장은 "제조분야 국내 강소 신규기업과의 상생·협력을 바탕으로 해외 도입 기자재 및 기술에 대한 도전적 국산화를 지속 추진하여 기술회사로서의 가치를 격상시켜 나갈 것"이라고 결의를 다졌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