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가희 기자] 제주 4.3 사건 71주년을 맞아 4.3의 정신을 기리고 추념하는 시민 추모공간과 함께 4.3항쟁의 평화 인권 메시지를 담은 4.3국민 문화제가 진행되고 있다.
3일 서울 광화문관장에서는 “4370+1, 봄이 왐수다”라는 표어 아래, 71주년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4370+1, 봄이 왐수다”의 봄은 71년간 겨울처럼 봉인돼 아직도 풀지 못한 숙제로 남겨져 있는, 그래서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처럼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바라는 염원을 담았다.
또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4.3특별법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돼 4.3의 피해 조사에서 명예를 회복하는 법률로 개정되어 정명을 찾고자 하는 마음을 담았다.
그리고 매해 4월이 되면 봄날보다 아픔을 더 되새겨야 했던 아픈 “봄”을 넘어, 생명이 꿈틀대는 희망처럼 시민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청년들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3일부터 5일간, 시민들이 제주4.3의 의미를 되새기며 희생자를 추념할 수 있는 시민 추모공간과 종단별 추념의례가, 주말인 6일과 7일에는 다각도로 4.3을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는 체험 공간과 함께 ‘4.3국민문화제’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4•3사건은 1947년 3•1절 기념식 발포사건 때부터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7년 7개월간 군경의 진압 등 소요사태로 무고한 도민이 희생된 사건을 말하는데 당시 3만 명의 희생자가 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김가희 기자 no@lawissue.co.kr
3일 서울 광화문관장에서는 “4370+1, 봄이 왐수다”라는 표어 아래, 71주년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4370+1, 봄이 왐수다”의 봄은 71년간 겨울처럼 봉인돼 아직도 풀지 못한 숙제로 남겨져 있는, 그래서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처럼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바라는 염원을 담았다.
또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4.3특별법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돼 4.3의 피해 조사에서 명예를 회복하는 법률로 개정되어 정명을 찾고자 하는 마음을 담았다.
그리고 매해 4월이 되면 봄날보다 아픔을 더 되새겨야 했던 아픈 “봄”을 넘어, 생명이 꿈틀대는 희망처럼 시민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청년들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3일부터 5일간, 시민들이 제주4.3의 의미를 되새기며 희생자를 추념할 수 있는 시민 추모공간과 종단별 추념의례가, 주말인 6일과 7일에는 다각도로 4.3을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는 체험 공간과 함께 ‘4.3국민문화제’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4•3사건은 1947년 3•1절 기념식 발포사건 때부터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7년 7개월간 군경의 진압 등 소요사태로 무고한 도민이 희생된 사건을 말하는데 당시 3만 명의 희생자가 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김가희 기자 no@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