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정일영 기자] 1919년 2월 1일, 해외에서 활동중이던 독립운동가들 39명이 만주 지린에서 독립선언서를 발표했다. 일명 대한독립선언이라고도 불리며 이 독립선언은 3·1 운동의 전초가 됐다.
이 독립선언은 음력으로 1918년 무오년에 선포돼 '무오독립선언서'라고 일컫는다.
선언문의 내용은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국임을 밝히고 있고 독립은 민족을 스스로 보호하는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라고 적혀있다.
또 일본의 병합수단은 사기와 강박과 무력폭행 등에 의한 것이므로 무효이고, 국민들에게 육탄혈전을 통해 독립을 완성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무오독립선언은 우리나라 최초의 독립선언서로 무오독립선언 직후 일본 도쿄에서 백관수 등 한국 유학생들이 중심으로 2·8 독립 선언을 발표했고, 곧이어 당시 한성에서 민족대표 33인의 기미독립선언과 함께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정일영 기자
이 독립선언은 음력으로 1918년 무오년에 선포돼 '무오독립선언서'라고 일컫는다.
선언문의 내용은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국임을 밝히고 있고 독립은 민족을 스스로 보호하는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라고 적혀있다.
또 일본의 병합수단은 사기와 강박과 무력폭행 등에 의한 것이므로 무효이고, 국민들에게 육탄혈전을 통해 독립을 완성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무오독립선언은 우리나라 최초의 독립선언서로 무오독립선언 직후 일본 도쿄에서 백관수 등 한국 유학생들이 중심으로 2·8 독립 선언을 발표했고, 곧이어 당시 한성에서 민족대표 33인의 기미독립선언과 함께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정일영 기자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