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군사작전에 필요한 정보수집과 분석을 국가 차원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고, 종전 후 자유민주주의를 표방한 미국은 소련의 세계 공산주의 혁명 수출을 저지하기 위해 1947년 국가안전보장법(NSA)을 제정했다. 미국은 국가안전보장법에 의해 대통령, 부통령, 국무장관 및 국방장관으로 구성되는 국가안보회의(NSC)를 설치하고, 이를 보좌하기 위한 국가정보기구로 중앙정보국(CIA)을 창설했다. CIA는 국내외 정보를 수집, 분석해 보고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로써 미국은 국가 차원의 정보기관을 정착시켰고, 이를 계기로 각국은 국가 차원의 정보를 생산하는 국가정보기구들을 만들었다.
이를 계기로 미국·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주요 대학에 국가정보와 국가안보 관련 학과들을 앞다퉈 개설하였다. 미 전략정보국(OSS)의 전직 유럽아프리카 담당 정보분석국장 셔먼 켄트(Sherman Kent)가 예일대학으로 돌아간 후, 1949년 최초의 체계적인 정보 관련 교과서 『미국외교정책을 위한 전략정보(Strategic Intelligence for American World Policy)』를 발간한 데 이어 전직 정보요원들에 의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정보 관련 저서들이 계속하여 출판되었다. 냉전 이후에는 비밀로 분류되었던 자료들이 공개되면서 국가정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고, 9·11 테러 사건을 계기로 국가정보가 국가안보의 중요 요소가 됨으로써 국가정보학이 학문으로 정착해 발전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6년 ‘국가정보학 포럼’이 결성되고 포럼에 참여한 학자들이 국가정보학 교과서 『국가정보학』을 발간함으로써 국가정보원이 국가정보학을 시험 과목에 포함해 국가정보요원 채용시험을 실시하게 됐다. 이에 따라 각 대학 정치학 교수와 전직 요원들이 각 대학에서 강의하며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국가정보기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100여 개 대학에서 840여 개의 정보관련 강의가 개설되었다. 한편 CIA 대학에서는 2005년 정보관련 강의가 300여 개까지 개설되고, 군부 정보교육기관에서는 1,417개까지 개설되었다.
국가정보학은 국가 차원의 정보활동에 관한 학문으로 국가정보의 체계, 첩보수집, 정보분석, 비밀공작, 방첩 등 정보활동의 내용과 활동 사례 등을 설명하고 국가정보학을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하여 국가정보활동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인식하게 해준다. 또한 국가정보원은 홈페이지를 통해 국가정보원의 성격, 임무 및 업무 분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국가정보기관에 대해 관심을 갖는 사람은 필요한 정보를 얼마든지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국가정보활동을 일생의 목표로 정하는 데에는 특정 전공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국가정보활동에서는 대학의 각 분야에서 전공한 자신의 전문성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 학문에서 개발된 이론을 활용하여 종합적인 정책정보를 생산하기도 한다. 정책정보를 생산한다고 해서 정치학, 행정학, 법학, 경제학 등 사회과학만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철학, 논리학, 심리학 등 인문학, 수학, 통계학, 화학 등 자연과학과 전자공학, 기계공학, 컴퓨터공학 등 공학 분야도 해당 업무에 따라 필요하다.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