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으로 활동했던 조국 교수는 이날 페이스북에 경향신문의 <“‘안철수표 혁신’ 핵심은 결국 ‘문재인 사퇴’였다.”>라는 기사를 링크하며 “정확히 본 기사다”라며 말문을 열었다.
조 교수는 “‘문-안-박 연대’도 ‘문-안 공동대표/비대위장’도 거부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며 “혁신위(원회) 시작부터 끝까지 새정치(민주연합) 비주류는 공개 및 비공개 자리에서 문재인 사퇴가 최고의 혁신이라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조국 교수는 “‘기-승-전-문재인 사퇴’라는 도돌이...그 외에는 어떠한 제도적 혁신, 인적 혁신도 의미 없거나 ‘친노패권’ 강화를 위한 혁신이라고 비판, 반대했다”며 “당원과 지지자 다수가 공유하고 있던 ‘문재인만으로는 안 되지만, 문재인 없이도 안 된다’는 명제는 거부당했다”며 “안철수 의원도 이상의 점을 공유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자신을 ‘반노/문의 수장’으로 국한시키지 않고 길게 보며 ‘국민의 안철수’의 길을 택했어야 했는데...”라며 “안 의원은 ‘문재인과는 절대 같이 할 수 없다’는 판단으로 다른 당을 만들기로 했으니, 문재인과 ‘친노패권’ 없는 정당에서 자유로이 ‘안철수표 새정치’, ‘안철수표 혁신’이 무엇인지 보여주길 희망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어떤 사람과 손잡고 어떤 일을 하는지 주목해야 한다. 야당으로서 (안철수 의원이) 박근혜 정부와 어떻게 싸우는지, 어떠한 대안을 제시하는지 보겠다. 이철승류 ‘중도통합론’으로 가지 않기를 희망한다”며 “그리고 안철수의 선택에 동의하는 분들의 경우, 빨리 거취를 결정하는 것이 정치인으로서 책임있는 행동이다”라고 새정치민주연합에 남아 정치적 셈법을 따지며 주판알을 튕기는 의원들을 겨냥했다.
조국 교수는 “이제 공은 다시 문재인에게 돌아왔다. 문자 그대로 무한책임을 져야 한다”며 “국회선진화법 폐기 또는 여당 단독 개헌을 저지할 수 있는 의석이 무너져 내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조 교수는 “혁신위 활동과정에서 계파 이익을 고려하지 않고 혁신을 실천하겠다는 문재인의 의지는 확고했다”며 “다수의 법률가처럼 문재인은 자신이 한 말에 ‘구속’되고, 제도와 절차를 중시하며 이를 어기는 사람을 싫어한다. 너무 법률가적이어서 정치력이 떨어진다는 점이 문재인의 단점이지만, 지금은 좌고우면하지 않고 제도와 절차에 따라 확정된 혁신을 실천하는 것만이 문재인의 살 길이다”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이는 당 대표로서 ‘사실상의 분당’을 막지 못한 책임을 지는 일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조국 교수는 “공석이 생긴 최고위원회와 주요 간부 자리를 빨리 채우고, 각종 조직을 정비해야 한다. 당헌당규로 확정된 혁신안에 동의한다면, 오히려 ‘비노/문’을 우대해야 한다. 그리고 전국에서 혁신적 인물을 대거 발굴해 안철수 탈당으로 흔들리는 정당의 기둥을 보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특히 혁신위가 요구했던 민생복지정당노선에 걸맞는 인사들로 말이다. 만약 이후 공천과정 등에서 ‘친노/문’ 이라는 이유로 함량미달의 인사를 챙기는 기미가 보이면 나부터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고 경각심을 심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