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전문 인터넷신문=로이슈] 일제강점기 때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했던 독립유공자의 후손 41명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다.
김경한 법무부장관은 13일 법무부 대회의실에서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대한국민회’를 조직해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했던 안무 선생의 외손자 등 독립유공자 후손 41명에게 특별귀화증서를 수여했다.
김 장관은 축사를 통해 “그 간 외국인 신분으로 불편하게 생활해 온 것에 대해 위로하고 독립유공자 후손으로서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국민이 된 것을 축하한다”며 “이제 대한민국 국민의 일원으로서 권리를 누림과 동시에 그에 따른 의무와 책임 또한 성실하게 이행하고,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각자 종사하는 분야에서 국가발전에 이바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번에 특별귀화증서를 수여받은 독립유공자 후손은 안무 선생의 후손 3명(이태주, 김해복, 이림향)을 비롯해 41명. 안무 선생(1883∼1924.9.7.)은 1914년 대한국민회를 조직해 부회장을 맡았고, 국민회군을 편성해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1920년에는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최진동의 군무도독부와 연합사령부를 구성해 무장활동을 전개하면서 같은 해 6월 독립군부사령관으로 일본 제19사단 소속부대와 봉오동 전투에 참전해 120명을 궤멸하는 큰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1923년에는 상해국민대표회의에 국민회군대표로 참여했고, 이듬해 용정에 본거지를 두고 항일운동 중 일본 경찰대의 습격으로 복부 관통상을 입고 체포돼 용정 자혜병원에서 치료를 거절하고 사망했다.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됐다.
이날 독립유공자 후손들에 대한 특별귀화증서 수여식은 2006년 이래 통산 네 번째 거행되는 것으로, 이번 특별귀화자들의 과거 보유 국적은 전부 중국이다.
한편 귀화증서는 법무부가 조폐공사에 디자인을 의뢰해 새로이 제작한 것으로, 지면에 태극기 문양이 물결치는 모습을 역동적으로 표현해 귀화자들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귀화증서가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전문 위조방지 기술을 도안에 포함했다.
김경한 법무부장관은 13일 법무부 대회의실에서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대한국민회’를 조직해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했던 안무 선생의 외손자 등 독립유공자 후손 41명에게 특별귀화증서를 수여했다.
김 장관은 축사를 통해 “그 간 외국인 신분으로 불편하게 생활해 온 것에 대해 위로하고 독립유공자 후손으로서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국민이 된 것을 축하한다”며 “이제 대한민국 국민의 일원으로서 권리를 누림과 동시에 그에 따른 의무와 책임 또한 성실하게 이행하고,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각자 종사하는 분야에서 국가발전에 이바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번에 특별귀화증서를 수여받은 독립유공자 후손은 안무 선생의 후손 3명(이태주, 김해복, 이림향)을 비롯해 41명. 안무 선생(1883∼1924.9.7.)은 1914년 대한국민회를 조직해 부회장을 맡았고, 국민회군을 편성해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1920년에는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최진동의 군무도독부와 연합사령부를 구성해 무장활동을 전개하면서 같은 해 6월 독립군부사령관으로 일본 제19사단 소속부대와 봉오동 전투에 참전해 120명을 궤멸하는 큰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1923년에는 상해국민대표회의에 국민회군대표로 참여했고, 이듬해 용정에 본거지를 두고 항일운동 중 일본 경찰대의 습격으로 복부 관통상을 입고 체포돼 용정 자혜병원에서 치료를 거절하고 사망했다.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됐다.
이날 독립유공자 후손들에 대한 특별귀화증서 수여식은 2006년 이래 통산 네 번째 거행되는 것으로, 이번 특별귀화자들의 과거 보유 국적은 전부 중국이다.
한편 귀화증서는 법무부가 조폐공사에 디자인을 의뢰해 새로이 제작한 것으로, 지면에 태극기 문양이 물결치는 모습을 역동적으로 표현해 귀화자들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귀화증서가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전문 위조방지 기술을 도안에 포함했다.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