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대우건설, ‘베트남 시각장애인 지원프로그램’ 3년간 기부
대우건설(대표이사 백정완)이 베트남 기획투자부(MPI)를 통해 베트남 현지 시각장애인 지원프로그램인 ‘Program for Community Development(커뮤니티 발전 프로그램)’에 3년간 30억동(약 1억7000만원)을 기부한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17일 MPI 청사에서 개최된 기부 행사에는 대우건설 김보현 총괄부사장, 심상철 노조위원장, 안국진 베트남THT법인장 등 대우건설 주요관계자와 응웬티빅응옥 MPI 차관과 도반스 외국인투자부청장 등 베트남 주요인사가 참석했다. 대우건설의 기부금은 3년간 베트남 시각장애인들의 사회적응 프로그램 운영 및 사회적기업 취업 지원, 장애인 필요물품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대우건설 김보현 총괄부사장은 “대
-
‘톱5’ 건설사, 연말까지 전국 2만2000여 가구 분양
지난 7월 발표된 2023년 시공능력평가 순위에서 대우건설(3위)과 현대엔지니어링(4위)이 새롭게 톱5에 진입한 가운데 연말 분양시장에는 이들 메이저 브랜드를 앞세운 아파트가 대거 공급을 앞두고 있어 이목이 쏠린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10월부터 연말까지 전국 분양시장에서 대우건설,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 등이 전국 각지에서 33개 단지, 총 2만2890가구(5대 건설사 컨소시엄 포함)를 일반분양할 것으로 조사됐다.건설사별(컨소시엄 물량 제외, 10일 기준) 일반분양 가구수는 대우건설이 5970가구로 가장 많고, GS건설은 4746가구의 분양 계획을 잡고 있다. 현대건설은 3847가구, 현대엔지니어링은 743가
-
3040세대 사로잡은 ‘초품아’ 단지…올 전국 분양시장 휩쓸어
올해 전국적으로 분양시장에서 초품아(초등학교를 품은 단지)의 인기가 이어지고 있다. 어린 자녀를 둔 3040세대가 부동산 시장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만큼 초등학교와 가까울수록 많은 수요가 몰리며 단지의 가치도 눈에 띄게 상승하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올해(1월~8월) 전국 아파트 매입자 중 30대와 4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 7만5646명 △40대 7만2055명 △50대 5만9438명 △60대 3만7539명 △70대 이상 1만5642명 △20대 이하 1만2554명 △기타 6100명 순이다. 3040세대가 전체 매입자(27만8974명) 중 약 52.94%(14만7701명)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3040세대의 경우 어린
-
‘논산·세종·충주’ 국가산단 최종 승인 임박…지역 부동산 후끈
사업 추진이 본궤도에 오른 국가산업단지(이하 국가산단) 일대 부동산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산단 후보지 지정 후 삽을 뜨기까지의 무수한 난관을 통과했고, 일반산단에 비해 산업을 집약적·체계적으로 키워 파급력이 막강해서다. 부동산업계와 지자체 보도 등에 따르면 충남 논산(국방), 세종(스마트국가산단), 경북 영주(첨단베어링), 충주(바이오) 등에서 국가산단 조성이 순항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산단은 지역 주력 산업 고도화를 위해 중앙정부와 지역이 협력해 대규모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국가산단은 올초 기준 전국에 38곳에 불과하고, 노후화된 곳이 많아 신규 조성지에 기대감이
-
부산 등 지방광역시 연시 1만3000가구 신규 공급 ‘온기’
지방광역시 부동산 시장이 오랜 침체기를 벗어나 온기가 돌고 있다. 실제 지방광역시는 아파트값이 상승 전환되고, 분양시장에서는 수만명이 몰리며 완판되는 등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방광역시 중에서는 특히 울산, 대전, 대구의 가격 회복세가 눈에 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아파트 동향 자료에 따르면 울산은 8월 1주 전주 대비 0.01p 상승세를 보인 후 10주 연속 상승흐름을 이어갔고, 대전과 대구 역시 같은 기간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 밖에 광주의 경우도 9월 3주차 들어 상승세를 회복한 뒤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방광역시는 이와 함께 분양시장에 대한 관심도 재점화되고 있다. 특히 대전에서는 8월 ‘둔산 자이 아
-
변곡점 맞은 ‘대전 부동산’…하반기 전망도 ‘맑음’
대전 집값이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6월 대전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는 1321만원으로 저점을 찍은 후 상승세를 기록하며 9월에는 3.3㎡당 평균 1331만원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해부터 이어지던 부동산 침체 분위기가 연초 이후 반전되면서 시장 회복 여파가 수도권을 넘어 대전까지 퍼지고 있다고 업계는 분석했다.대전 아파트값이 상승세로 전환된 것으로 실로 오랜만에 일이다. 2021년 11월과 12월 3.3㎡당 평균 매매가 1467만원으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22년 1월 하락세로 돌아서 올해 5월까지 무려 17개월 연속 평균 매매가가 내림세를 보였기 때문이다.이처럼 변곡점을 맞은
-
대우건설, 부산 ‘문현 푸르지오 트레시엘’ 11월 분양 시동
대우건설 컨소시엄(대우건설·금호건설·계룡건설산업·흥한종합건설·우암건설)은 오는 11월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일원에 들어서는 ‘문현 푸르지오 트레시엘’을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8층, 8개동 총 960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전용면적 59~74㎡ 지구주민 포함 768가구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정확한 일반 분양가구수는 현재 일반분양에 앞서 진행 중인 지구주민 계약건수에 따라 차감, 결정될 예정이다. 문현 푸르지오 트레시엘은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함께 시행하는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이다. 청년·신혼부부 등을 비롯한 부산 시민에게 양질의 주택을 주변 시세 대비 낮은 가격에 공
-
‘송도·수원·논산’, 신설 KTX 주변 아파트 ‘눈길’
고속철도(KTX)가 새로 들어서는 지역 내 부동산에 관심이 쏠린다. 수도권은 인천과 수원, 지방은 논산 등 충청에서 수혜가 예상된다. 대형 교통 인프라덕에 거주 편의가 높아지고, 교통망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개발도 기대돼 미래가치가 높다는 평가다. 국토부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수도권에서는 인천발·수원발 KTX, 지방에서는 호남선 고속화사업, 동서고속화철도 등이 개통을 앞둔 것으로 나타났다. 모두 착공에 들어갔거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노선이다.먼저 인천발 KTX는 수인선 송도역을 출발해 경기 화성 부근에서 경부선과 합류한다. 이후 오송에서 호남선과 경부선으로 갈려 광주, 부산 등으로 이동 가능하다. 수원발 KTX도 수원
-
분양가 폭등에 ‘분상제’ 아파트에 몰린다…‘톱10’ 싹쓸이
금리와 원자재 가격 폭등이 촉발한 분양가 상승이 분양 시장의 판을 흔들고 있다. 일부 단지들이 평균 청약 경쟁률을 크게 밀어올리고 있는 서울과 수도권의 분양 시장의 강세 속에서도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지들에서 미계약이 속출하는 등 양극화 기조가 뚜렷해지고 있다. 분양가는 계속해서 상승 중이다. 분양가를 책정하는 기본 공사 비용인 기본형 건축비는 6개월새 1.7% 상승했으며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분석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전국 신규 분양 아파트 단지들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653만3000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약 12.5% 상승했다.여기에 올해 공급되는 신규 주택 물량이 역대 최저를 기록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
-
“공급난 어쩌나”…3분기 누적 실적 작년 대비 41% ‘뚝’
올해 분양 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41%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보다는 지방 감소폭이 컸으며 수도권에서는 경기도 공급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의 전국 분양 누적 실적은 총 5만8,722세대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만323세대가 분양된 것과 비교하면 4만1,601세대가 줄어든 59.5% 수준이다. 지방은 작년 6만7,792세대에서 3만5,555세대 줄어든 3만2,237세대였으며 수도권은 3만2,531세대에서 6,046세대 감소한 2만6,485세대를 기록했다. 전국에서 분양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작년 동기대비 8,710세대 감소한 대구광역시로 올해 512세대만 분양됐다. 올해 초 대구광역시
-
‘수도권’ 세대당 인구 2.2명 시대…‘소형 아파트’ 수요 몰려
수도권 분양시장에서 소형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인 가구 증가, 가족 형태 축소 등으로 선호하는 주거환경이 달라지며 소형 면적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를 보면, 올해 9월 수도권 지역(서울·경기·인천)의 1인 가구수는 473만9972가구로, 집계가 시작된 2008년(9월 기준) 306만6596가구보다 54.56% 증가했다. 같은기간 수도권의 4인 가구가 20.89% 감소(217만9345가구→172만4033가구)한 것과 대조된다.세대당 인구도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5년 간(2019년~2023년) 수도권의 변화 추이를 보면 △2019년 2.35명△ 2020년 2.29명 △2021년 2.25명 △2022년 2.22명 △202
-
국민평형 ‘전용 84㎡’ 인기 굳건…신고가에 청약도 절반 이상 몰려
부동산 시장에서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면적 84㎡의 인기가 굳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매매시장에서는 신고가가 잇따르고 청약시장에서는 1순위 통장 절반이 전용 84㎡ 쏠린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서울에서는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가 8월 43억9000만원에 거래되며 종전 신고가를 경신했다. 수도권에서도 동탄2신도시 ‘동탄역 롯데캐슬’가 같은 달 전용 84㎡ 16억원에 손바뀜되며 신고가를 새로 썼다. 지방에서의 인기도 뜨겁다. 실제 지방광역시는 물론 지방 중소도시에서도 전용 84㎡의 신고가 거래는 이어지고 있다. 일례로 울산광역시에서는 ‘번영로 하늘채 센트럴파크’ 전용 84㎡가 9월 7억8500
-
대우건설, ‘논산 푸르지오 더 퍼스트’ 주방 특화설계 선봬
대우건설이 시공하는 ‘논산 푸르지오 더 퍼스트’가 주방에 트렌디한 설계를 녹여 가족과 손님이 ‘홈쿡’을 즐기면서 휴식이 가능한 공간으로 구성돼 눈길을 끈다. 먼저 거실과 주방이 마주보는 대면형 주방을 선보인다. 조리공간이 거실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형태다. 주방-거실이 막힘 없이 이어져 개방감이 높고, 주방일을 하며 거실에 있는 사람들과 소통 가능하다. 특히 논산 푸르지오 더 퍼스트 전 세대는 기본 2.3m 천정고에 거실에 2.4m 우물천정이 적용돼 보다 탁 트인 공간감을 느낄 수 있다.타입에 따라 조망형 다이닝 설계(옵션)도 선보인다. 주방에서 식사를 하면서 탁 트인 창을 통해 주변 뷰를 감상할 수 있다. 창도 유
-
전용 59㎡ 미만 경쟁률 2배 ‘껑충’…소형 타입 인기 ‘후끈’
올해 아파트 청약 결과 소형 타입 경쟁률이 전년 대비 2배 가량 뛴 것으로 나타났다. 1~2인 가구가 10명 중 6명에 달하고, 평면 진화로 소형임에도 넉넉한 실내를 갖춘 것이 인기 요인으로 분석된다. 부동산인포가 청약홈 아파트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올해 59㎡(이하 전용면적) 미만 소형 타입 평균 경쟁률은 10.74대 1로 조사됐다.수도권에서 나온 49㎡ 타입이 경쟁률 상승을 이끌었다. 서울 ‘호반써밋 개봉’이 29.4대 1, 광명 ‘센트럴 아이파크’ 11.67대 1, 의왕 ‘인덕원 퍼스비엘’ 9.43대 1 등을 기록해 관심이 높았다.특히 올해 59㎡ 미만 경쟁률은 지난해(5.65대 1)보다 약 2배 뛰어 오름세가 두드려졌다. 반면 중대형 타입은 경
-
대우건설, 대전시 ‘관저 푸르지오 센트럴파크’ 10월 분양
대전 내에서도 주거선호도가 높은 관저동 일대에 7년 만에 새 아파트가 공급된다. 대우건설(대표이사 백정완)은 10월 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동에서 ‘관저 푸르지오 센트럴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관저 푸르지오 센트럴파크는 관저동 일대 도시개발사업지구인 계백지구 A1, A2블록에 지하2층~3층, 지상 최고 25층, 8개동, 총 660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전 세대가 소비자들의 선호도 높은 전용면적 84㎡의 단일면적으로 구성되며, 임대를 제외한 528세대가 일반분양될 예정이다.대우건설에 따르면 관저 푸르지오 센트럴파크는 주변으로 다양한 개발호재가 진행되고 있어 뛰어난 미래가치가 돋보인다. 실제 단지 인근에는 약 160만평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