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삼성바이오로직스, K-바이오 동반성장 위한 세미나 개최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가 국내 바이오산업 동반 성장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지난 15일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 호텔에서 약 3시간 동안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고객사인 지아이이노베이션과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를 비롯한 국내 31개의 바이오텍과 벤처캐피털,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등에서 총 6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이날 행사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국내 바이오텍과의 성공적인 전략적 파트너십 사례 공유, 국내 바이오산업 및 바이오텍 성장을 위한 펀드 역할 등 K-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됐다.먼저 존림 대표는 '함께하는 K-바이오의 미래'라는 제목으로 현
-
대법원, 레고켐파마는 레고의 식별력 손상 등록무효 해당 원심 확정
대법원 제2부(주심 대법관 이동원)는 2023년 11월 16일 이 사건 피고의 등록상표(레고켐파마)가 저명상표인 원고의 선사용상표들(레고)과 전체적으로 유사하여 선사용상표들의 식별력을 손상시킬 염려가 있다는 원심(특허법원)의 판단에 상표의 유사성 및 상표법 제34조 제1항 제11호에서의 식별력을 손상시킬 염려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며 피고의 상고를 기각했다(대법원 2023.11.16.선고 2020후11943 판결).대법원은 피고가 자신이 수행하는 신약 연구·개발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반드시 ‘LEGO’라는 용어의 약칭을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고 보기도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하면 피고가 선사용상
-
[IT이슈] 라이트스케일, 이더리움 레이어2 크로마(Kroma) 메인넷 론칭 外
㈜위메이드(대표 장현국)의 자회사 라이트스케일이 이더리움 레이어2 크로마 메인넷을 성공적으로 론칭했다. 크로마는 위믹스(WEMIX) 메가 에코 시스템 전략의 일환이다. 이더리움 생태계에 있는 유저, 홀더, 자산을 위믹스 생태계로 옮겨오는 채널 역할을 한다. 레이어1은 온보딩된 서비스가 늘고 트랜잭션이 증가하면 처리 속도가 느려지고 확장성이 부족해지며 수수료(가스비)는 증가한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이더리움은 이 문제를 겪고 있는 대표적인 레이어1이다. 레이어2는 이러한 블록체인 트릴레마(보안, 확장성, 탈중앙화) 중 확장성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이다.크로마는 롤업을 활용한 레이어2로, 현재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옵티미스
-
법무법인 디라이트, ‘스타인테크 바이오 시즌2’ TOP5 공개
차세대 바이오 스타트업을 한데 모으는 '스타인테크 바이오 시즌2'의 TOP5가 선정됐다.법무법인 디라이트(대표변호사 이병주, 조원희)와 더컴퍼니즈(대표 문경미)가 공동 주최하는 '스타인테크 바이오 시즌2'에 스타인테크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접수된 총 22개의 팀 중, 5개 팀이 심사위원단 및 멘토단을 통해 선발됐다고 3일 밝혔다.법무법인 디라이트에 따르면 스타인테크 바이오시즌2 TOP5에는 △라이보텍(Circular mRNA플랫폼) △ 아테온바이오(종양미세환경 신규 타겟 및 차세대 first-in-class 혁신 항체 신약) △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의약 화학 기반 혁신 신약) △카나프테라퓨틱스(종양미세환경 타겟 플랫폼 보유 및 혁신 신약) △포투
-
[IT이슈] 알바몬, ‘1억 알바머니 챌린지’ 실시 外
알바몬이 총상금 1억원을 걸고 '1억 알바머니 챌린지'를 실시한다. 내달 31일까지 알바몬 앱을 통해 챌리지에 참여하면 네이버페이와 현금 100만원 등의 알바머니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이벤트는 전국민 알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알바몬 측은 "이른 무더위와 잦은 비로 인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든 알바생들을 응원하기 위해 본 이벤트를 기획했다"고 밝혔다.알바몬 관계자는 "1억 알바머니 챌린지는 알바몬 회원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라며 "먼저, 이벤트 기간 동안 알바몬 앱을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알바머니 응모권을 받을 수 있다"라고 전했다. 매일 1억 알바머니 챌린지 페이지에 접속할
-
법무법인 디라이트, 더컴퍼니즈와 ‘스타인테크 바이오 시즌2’ 공동주최
법무법인 디라이트(D’Light∙대표변호사 이병주, 조원희)가 더컴퍼니즈(대표 문경미)와 공동 주최로 차세대 바이오 분야 스타트업을 찾는 ‘스타인테크 바이오 시즌2’를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법무법인 디라이트에 따르면 내달 6일까지 시즌에 참가할 팀들을 스타인테크 웹사이트를 통해 모집하며, 참가 모집 이후 예비심사를 거친 5개 팀은 6월 중순 이후 공개 예정이다.이번 스타인테크 시즌은 혁신적인 신약 개발 및 진단 분야에서 성장을 추진하는 팀들을 찾을 예정이다. 특히, 이번 시즌에는 5명의 업계 멘토가 협력 관계를 모색할 방침이다. 지난해의 경우, TOP5에 오른 마이크로바이오틱스가 멘토사인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연구
-
법무법인 디라이트, 스타인테크와 함께 '스타인테크 바이오시즌1' 성료
“최근 바이오 업계의 바닥을 다지는 과정에서 투자가 저조한 상황인데, '스타인테크 바이오 시즌1'은 상당히 의미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시즌에서 지원한 약 30개의 바이오 기업을 보며, 바이오 산업이 정말 내실있게 성장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지난 28일 법무법인 디라이트와 스타인테크가 공동 주최한 바이오 시즌1 파이널 라운드(FINAL ROUND)에서 멘토 단장을 맡은 김용주 레고켐바이오 대표의 말이다. 이번 행사는 바이오텍들의 축제로 바이오 기업의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최됐다. 파트너에는 한국바이오협회,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등이 함께 했다. 후원은 뉴레이크 얼라이언스, 다산네트워크, 레고켐바이
-
’200억 투자 기회’ … 차세대 바이오 스타트업 ‘TOP5’는 누구?
“바이오 산업의 핵심은 지적재산권입니다. 글로벌 회사들의 개발 동향 및 시장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로펌 입장에서 수많은 바이오 기업들의 자문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시즌에 참가하는 팀들의 필요한 법률 영역을 멘토링하겠습니다."(조원희 법무법인 디라이트 대표변호사)법무법인 디라이트(D’Light∙대표변호사 이병주, 조원희)가 차세대 바이오·헬스케어 스타트업을 한데 모으는 ‘스타인테크 바이오 시즌1’의 공동 주최를 맡았다고 10일 밝혔다. 회사는 오는 28일까지 시즌1에 참가할 기업들을 스타인테크 웹사이트를 통해 모집한다. 참가 모집 이후 예비심사를 거친 상위 5개 팀이 6월부터 공개될 예정이다.
-
한미약품그룹-레고켐바이오, 이중항체 ADC 항암신약 공동개발
한미약품그룹이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함께 이중항체 기반의 ADC 항암제를 공동으로 개발한다. 한미약품(대표이사 권세창•우종수)과 북경한미약품(총경리 임해룡),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사 김용주, 이하 레고켐)는 22일 북경한미가 개발한 이중항체 플랫폼 ‘펜탐바디’를 적용한 차세대 ADC(항체-약물 결합체, Antibody-Drug conjugates) 공동 연구 및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북경한미약품이 보유한 서로 다른 2개의 항원에 결합하는 이중항체 물질에 레고켐이 보유한 ADC 링커-톡신 플랫폼을 적용해 차세대 이중항체 ADC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한미약품은 이를 기반으로 신속한 글로벌 상용화 프로세스를 추진
-
이뮨온시아, 레고켐바이오와‘ 면역조절 항체 결합체’공동연구계약 체결
면역항암제 전문기업 ㈜이뮨온시아는㈜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레고켐바이오’)와 면역조절 항체 결합체(Antibody Immune-modulator Conjugates(AIC))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이번 계약에 따라 양사는 이뮨온시아의 항체를 기반으로레고켐바이오의고유 항체-약물 결합(Antibody-Drug Conjugates(ADC))기술을 활용,다양한 면역조절물질을 결합시킨 신약 후보물질들을 도출하여 전임상 효능을 평가하게 된다.AIC는 최근 주목받는새로운 기전의 약물로 항체에 면역조절 약물(Immune-modulator)을 결합하여 종양 특이적 면역활성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
에이비엘바이오-레고켐바이오 ADC 공동개발 확대
에이비엘바이오(298380)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141080)가 항체-약물 결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공동개발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업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양사가 공동개발한 ADC후보물질 ABL202(LCB71)에 대해 중국 시스톤파마수티컬스와 약 4000억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이 체결된 직후라 더 주목된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기존에 진행하던 2개 ADC공동연구 과제에 추가로 2개를 더해 총 4가지 프로젝트로 확장하여 협력하게 된다. 기존에는 에이비엘바이오의 항체와 레고켐바이오의 ADC플랫폼 기술을 결합한 ABL202(LCB71)를 포함한 단일클론-ADC만 공동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이번 협약으로 이중항체-ADC까
-
신한금투 "레고켐바이오, 다수 기술이전 통한 실적 시현 전망"
신한금융투자는 레고켐바이오(141080, 전일 종가 4만7650원)가 2분기 기술이전 계약금 반영으로 영업이익 28억원을 기록했다. 다수의 기술이전을 바탕으로 실적 시현의 시기가 다가올 것이라고 21일 전망했다. 신한금투에 따르면 레고켐바이오는 2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 및 영업이익으로 각각 117억원(+51.6% YoY), 28억원(흑자전환 YoY)을 시현했다. 지난 4월과 5월 Iksuda Therapeutics에 기술이전한 ADC 플랫폼 기술(3개 타겟)과 ADC 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의 계약금 수령에 따라 기술이전 관련 매출 61억원이 반영됐다. 계약 당시 NRDO(No Research Development Only) 기업으로부터 실제로 계약금 수령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논란이 존재
-
미래에셋대우 “한미약품, 비만·당뇨치료제 판권 반환 아쉬워... 목표주가↓”
미래에셋대우는 한미약품이 얀센이 개발중이던 비만·당뇨치료제의 권리를 반환받았다며, 해당 치료제의 가치조정에 따라 목표주가를 변경한다고 4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68만원에서 61만5000원으로 하향했다.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이번에 얀센이 반환한 HM12525A는 2015년 11월 얀센에게 총 마일스톤 9.15억 달러, 계약금 1.05억 달러에 기술이전된 물질이다. 얀센은 최근 완료된 2건의 임상2상에서 1차 평가 지표인 체중 감소는 목표치에 도달했으나, 당뇨가 동반된 비만 환자에서의 혈당 조절이 내부 기준에 미치지 못해 권리 반환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이 이미 수령한 1.05억 달러는 반환하지 않는다
-
제약바이오협, 한국화학연구원과 오는 16일 항생제 포럼 개최
세계 항생제 인식 주간을 맞아 전 세계인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항생제 내성 문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장이 열린다.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한국화학연구원은 오는 16일 오후 1시 30분부터 한국화학연구원 디딤돌플라자에서 ‘대한민국 항생제 개발의 딜레마’ 를 주제로 항생제 개발 R&SD(Research and Solution Development, 사회문제 해결 연구개발) 포럼을 개최한다. 최근 항생제 내성(Antimicrobial Resistance,이하 AMR)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어 국제사회에서 다양한 형태의 항생제 연구 및 지원프로그램이 활발히 가동되고 있지만, 국내에서의 항생제 연구 및 지원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항생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꾸준히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11월 8일 15:30)
[로이슈 심준보 기자] 8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닥(695.05p, +12.68p, +1.86%) 상승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기타 제조(4.07%), 비금속(2.99%)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KOSDAQ 기술성장기업(-2.02%), 운송장비·부품(-1.81%)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659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539개, 60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KD건설(+28.42%), 핸디소프트(+27.82%)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유티아이(-13.43%), 레고켐바이오(-11.90%) 이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