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TS가 자동차검사 통계를 분석한 결과 총 검사대수는 2023년 1329만대에서 1362만대로 2.5% 증가했고, 부적합률은 2023년 21.56%에서 2024년 21.44%로 전년 대비 0.12%p 감소했다.
장치 항목별 부적합 차량 대수는 등화장치 부적합 차량이 181만5550대(부적합률 13.33%), 전조등 70만19대(5.14%), 브레이크 32만946대(2.36%)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조등·브레이크·원동기 등 부적합 차량은 전년 대비 증가했고, 등화장치‧배기가스 등 부적합 차량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아울러 2024년 TS 검사소에서 검사한 차량의 부적합률은 24.2%, 민간검사소에서 검사한 차량의 부적합률은 20.7%로 각각 나타났다.
차량의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 차령이 높아지고, 주행거리가 길어질수록 부적합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종별 부적합률은 화물차가, 연료별 부적합률은 LPG 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차령에 따른 부적합률을 분석한 결과 ▲차령 4년 이하 부적합률 9.63% ▲차령 5년 초과~6년 이하 부적합률 13.76% ▲차령 6년 초과~7년 이하 부적합률 15.71% ▲차령 14년 초과 차량 부적합률 33.2% 등으로 나타나 차령이 높아질수록 부적합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차종별 부적합률 분석 결과, 화물차 부적합률이 26.95%를 보이며, 승용차 19.49%, 승합차 19.78%, 특수차 19.17% 대비 현저히 높은 부적합률을 보였다.
연료 종류별 부적합률 분석 결과 LPG차량의 부적합률이 24.03% 로 가장 높았고, 경유(23.58%), 휘발유(19.78%), CNG(12.76%), 무동력(12.73%), 하이브리드(10.86%), 전기(8.32%) 순으로 나타났다.
TS 정용식 이사장은 “정기적인 자동차 검사 수검을 통해 교통사고 예방, 환경 개선 등 다양한 사회적 편익을 가져올 수 있다”며 “TS는 국민 기대에 맞는 자동차 검사 품질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안전관리 분야에서도 국제 경쟁력을 갖추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