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비상계엄의 혼란 속, 노동정책 전문가를 제치고 정치권 인사가 고용정보원장에 낙점됐다. 국가 데이터 기관의 신뢰가 정치 보은 논란에 휩싸였다.
21일 박홍배 의원실에 따르면, 이창수 한국고용정보원장은 지난해 12월 6일, 12·3 비상계엄 선포 사흘 만에 김문수 전 노동부 장관에 의해 전격 임명됐다. 국회 탄핵소추 직전의 민감한 시점에, 40년 경력의 노동정책 베테랑을 제치고 정치 경력 위주의 이 원장이 선임되면서 ‘낙하산 인사’ 비판이 거세다.
이 원장은 충남도청 비서실장, 국민의힘 충남도당 위원장, 중앙당 인권위원장 등 정무적 이력을 쌓아왔으나, 고용정책 실무 경험은 미미하다. 반면 탈락한 후보 A는 노동부 산하 기관에서 40년간 고용정책을 개발하며 장관 표창을 받은 전문가였고, 후보 B는 행정자치부 장관상을 수상한 경영전문가였다. 임원추천위는 이 원장의 “정무적 네트워크”를 이유로 추천했지만, 전문성보다 정치적 연줄이 우선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논란은 겸직 문제로 확대된다. 이 원장은 임명 당시 교통안전공단 비상임감사로 월 200만 원 보수를 받으며 겸직을 시도했으나, 기획재정부의 불허로 철회했다. 전호일 민주노총 대변인은 “고용정보원 운영과 무관한 인사를 장관이 임명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대통령실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박홍배 의원은 “고용데이터를 다루는 핵심 기관에 정치 보은 인사를 앉힌 것은 국민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라며 “알박기 인사를 뿌리 뽑고 전문가 중심의 공공기관 운영을 정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