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전기안전공사(사장 남화영)는 17일 장마철·폭우 때 전기 사고 예방을 위한 수칙을 공개했다.
여름철은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비와 무더위로 인해 각종 전기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통계청 등에 따르면 2023년 감전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7월(55명)과 6월(51명) 등, 여름철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름철 집중호우나 장마로 인한 높은 습도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습도가 높을 때 누전사고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집 안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의 작동 여부는 간단하게 누전차단기에 달려 있는 시험 버튼을 눌러 확인할 수 있다.
집중호우 등으로 거리가 침수됐을 때에는 전기시설물 근처로 가지 않는 것이 좋다. 가로등과 신호등 등에서 전기가 흘러나와 보행자에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침수지역에서 가져온 전자제품에 전원을 연결하는 행위 역시 위험하다. 만약 많은 비로 인해 가전제품이 물에 일부라도 잠겼다면, 완전히 건조한 이후에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낙뢰가 심할 때는 컴퓨터나 TV의 전선을 뽑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한국전기안전공사 관계자는 “비나 강풍이 예고되면, 각 가정과 상가, 작업장 등에 늘어져 있는 전선을 미리 정리하는 것도 사고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며 “감전 사고자에게 접촉을 시도하면 2차 감전의 가능성이 높다. 사고가 나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체를 활용해 사고자와 전기 접촉을 단절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여름철은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비와 무더위로 인해 각종 전기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통계청 등에 따르면 2023년 감전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7월(55명)과 6월(51명) 등, 여름철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름철 집중호우나 장마로 인한 높은 습도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습도가 높을 때 누전사고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집 안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의 작동 여부는 간단하게 누전차단기에 달려 있는 시험 버튼을 눌러 확인할 수 있다.
집중호우 등으로 거리가 침수됐을 때에는 전기시설물 근처로 가지 않는 것이 좋다. 가로등과 신호등 등에서 전기가 흘러나와 보행자에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침수지역에서 가져온 전자제품에 전원을 연결하는 행위 역시 위험하다. 만약 많은 비로 인해 가전제품이 물에 일부라도 잠겼다면, 완전히 건조한 이후에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낙뢰가 심할 때는 컴퓨터나 TV의 전선을 뽑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한국전기안전공사 관계자는 “비나 강풍이 예고되면, 각 가정과 상가, 작업장 등에 늘어져 있는 전선을 미리 정리하는 것도 사고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며 “감전 사고자에게 접촉을 시도하면 2차 감전의 가능성이 높다. 사고가 나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체를 활용해 사고자와 전기 접촉을 단절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