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고는 2020. 5. 5. 피고에게 이 사건 아파트를 임대차보증금 20,000,000원, 차임 월 500,000원, 기간 2020. 5. 8.부터 2022. 5. 7.까지로 정하여 임대했다(이하 ‘이 사건 임대차계약’이라 한다).
원고와 피고는 2022. 4. 6. 임대차보증금을 25,000,000원으로 증액하고, 기간을 2024. 5. 7.까지 연장하기로 약정했다.
이 사건 임대차계약은 2022. 8. 16. 피고의 차임 연체 등을 이유로 해지됐다.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이 사건 소를 제기하여 이 사건 아파트의 인도와 차임 상당 부당이득반환 등을 구하자, 피고는 이 사건 아파트에 관하여 임차권등기명령(서울북부지방법원 2022카임10314)을 받았고, 이에 따라 2022. 10. 7. 주택임차권등기가 이루어졌다.
원심(서울북부지방법원 2024. 2. 8. 선고 2023나37361 판결)은 피고가 원고에게 반환해야 할 부당이득금을 임대차계약 해지 이후인 2022. 9. 8.부터 피고가 이 사건 아파트를 사용·수익한 마지막 날인 2022. 12. 29.까지 약정 차임인 월 500,000원의 비율에 의한 돈으로 산정하고, 피고가 원고에게 지급해야 할 원상회복비용으로 인터폰 재설치 비용 110,000원, 번호키 교체비용 165,000원, 안방벽면 공사비용 550,000원 합계 825,000원을 인정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했다.
이에 대해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관련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고 수긍했다.
원심은 ① 변호사비용은 소송비용액확정 절차를 거쳐 상환받아야 하고, ② 피고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이 사건 임대차계약 종료 후 원고에게 이 사건 아파트의 인도 또는 인도의 이행제공을 하였다고 인정하기 부족하므로 이 사건 임대차보증금에 지연손해금이 발생했다고 보기 어려우며, ③ 원고가 이 사건 임대차계약을 갱신하면서 주택임대차법 제7조를 위반하여 임대차보증금을 증액했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피고 주장의 변호사비용 상환채권 및 손해배상채권으로 원고의 채권과 상계한다는 취지의 피고 주장을 배척했다.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소송비용을 자동채권으로 한 상계, 이행제공의 정도 및 방법, 주택임대차법 제7조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고 인정했다.
-또 원심은 임차권등기명령 신청비용은 재판확정 후 민사소송법 등에 따른 소송비용액 확정절차를 거쳐 돌려받아야 한다는 이유로, 임차권등기명령 신청비용 및 임차권등기비용에 관한 상환채권으로 원고의 채권과 상계한다는 취지의 피고 주장을 배척했다.
이에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은 수긍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이하 ‘주택임대차법’이라 한다) 제3조의3은 제3항에서 임차권등기명령의 신청에 대한 재판절차와 임차권등기명령의 집행 등에 관하여 민사집행법상 가압류에 관한 절차규정을 일부 준용하는 한편, 제8항에서 “임차인은 제1항에 따른 임차권등기명령의 신청과 그에 따른 임차권등기와 관련하여 든 비용을 임대인에게 청구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임차인은 민사소송으로 그 비용을 청구하거나, 상계의 자동채권으로 삼는 등의 방법으로 비용상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봄이 타당하다.
원심으로서는 피고가 주장하는 임차권등기 관련비용 상환청구권의 존재 여부 및 범위를 심리·판단했어야 했다.
원심판결에는 임차권등기 관련비용 상환채권의 상계항변에 관한 상고이유에 한하여 파기사유가 있으나, 이와 같은 파기사유만으로도 수동채권을 이루는 부분과 자동채권을 이루는 부분을 전체적으로 다시 확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원심판결 전부를 파기함이 타당하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