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기자수첩

[기자수첩] 홈플러스 전단채 비대위, 피해 구제 위해선 소통 폭 넓혀야

2025-04-17 18:30:19

[로이슈 심준보 기자] 홈플러스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며 홈플러스 매입채무유동화 전단채(ABSTB) 투자자들의 모임인 ‘홈플러스 ABSTB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의 행동도 왕성해지고 있다. 다만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에만 보상을 요구하기보다, 발행 및 판매 주체인 증권사와도 소통을 확대하는 것이 조속한 피해 구제를 위한 방법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ABSTB는 신용카드로 결제한 물품 대금을 기초 자산으로 발행한 단기 사채로, 해당 상품은 신영증권에서 발행하고 4개 증권사에서 판매가 이뤄졌다. 비대위는 현재까지 총 피해 금액이 6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비대위는 홈플러스 경영진을 특정경제범쥐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사기 혐의 등으로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 비대위측은 당시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숨기고 전단채를 팔았다며, 구체적인 구제 방안도 내놓지 않아 소장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또한 MBK파트너스 본사 앞과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의 자택, 서울회생법원 앞에서 피켓시위 등 단체행동을 진행중이다.

허나 증권가에서는 비대위의 행동이 기존 투자상품 문제 발생시 피해자들과는 다르다고 보고 있다. 문제가 된 ABSTB의 발행 및 판매사에게는 문제제기가 없다는 것.

그간 옵티머스와 라임 사태 등 고위험 금융투자상품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투자자들이 발행증권사나 은행, 또는 판매증권사에 먼저 문제를 제기했다. 그 후 불완전판매의 정도에 따라 판매기관들이 투자자들에게 먼저 배상하고, 발행회사나 관련자들에게 책임을 물어 구상하는 과정을 거쳤다.

홈플러스 ABSTB의 발행사인 신영증권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 통보 이후에도 80억원 규모의 ABSTB를 판매했다는 불완전 판매 의혹을 받기도 했다. 신영증권은 부인했으나 금융당국의 조사가 진행됐다.

비대위에 참여한 피해자도 규탄 집회에서 "증권사가 ABSTB를 '홈플러스 기반의 안정적 투자처'라고 홍보했다"라며 불완전 판매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신영증권을 비롯한 복수의 증권사에 취재했으나 비대위의 구제 요구나 불완전판매 의혹 제기 등 접촉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의 책임이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그러나 진정 투자 피해자들의 피해 구제를 원한다면, 적법한 절차 내 모든 방안을 시도해 봐야 한다. 판매사와의 소통은 투자 피해자가 취할 수 있는 첫번째 권리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