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설명회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25.2월)에 따른 유연성 자원을 속도감있게 확보하기 위한 ’25년 BESS 중앙계약시장 활성화 차원에서 개최됐다.
서울 및 제주 설명회에는 전력 유관기관, BESS 제작사, 투자기관 등 다양한 기관에서 참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참석 규모도 서울 설명회는 약 400명, 제주 설명회는 약 50명이 참석하는 등 전력 산업계의 많은 관심이 집중됐다.
지난 서울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인사말을 전한 전력거래소 안병진 시장혁신처장은 재생e 공급과잉 및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의 필요성 등을 강조하였다. 이어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시장과 최준혁 사무관은 합리적이고 내실 있는 BESS 중앙계약시장 개설을 위해 사업자들의 많은 관심 및 의견 제시 등을 당부했다.
’25년 1차 BESS 중앙계약시장 추진 방향에 대해 발표를 맡은 전력거래소 조세철 선도시장팀장은 ▲중앙계약시장 개요 및 ’23년 1차 사업 추진 경과, ▲BESS 중앙계약시장 추진 방향, ▲’25년 제1차 BESS 중앙계약시장 설계(안) 등을 설명하면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정책 방향과 최근 대내외 여건 등을 고려하여 지난 ’23년 1차 사업 대비 시장 개선 사항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에서는 참석자들의 다양한 질문과 답변이 약 한 시간가량 진행됐으며, 추가 의견은 중앙계약시장 통합플랫폼의 Q&A 게시판을 통해 15일, 18시까지 접수할 예정이다.
전력거래소는 이번 사업자 의견 수렴을 토대로 최종 공고문(안)을 중앙계약시장위원회를 통해 확정한 뒤, 4월 말 입찰공고 및 약 10주간의 공고 기간을 거쳐 7월 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전력거래소 선도시장팀 조세철 팀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나온 사업자별 의견과 전문가 논의 등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BESS 중앙계약시장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며, 사업자 설명회가 BESS 중앙계약시장 참여를 희망하는 사업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전력거래소는 입찰공고 이후 공고문에 대한 사업자들의 이해도 제고 및 궁금한 사항에 대한 답변 등을 위해 광주 또는 나주에서 추가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