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대통령실·국회

안도걸, 국가전략산업 세액공제…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발의

2025-04-01 01:17:19

안도걸 국회의원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안도걸 국회의원 (사진=연합뉴스)
[로이슈 이상욱 기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안도걸 (광주 동구남구을) 국회의원은 26일 국가전략산업의 국내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고 비수도권 지역의 전략산업 유치를 지원하기 위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법은 국가전략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한 설비투자에 한해 일정 금액의 세액공제를 부여하고 있다. 알려져 있다시피 최근 (미국·유럽) 등 주요국들이 자국 내 첨단 제조시설 유치를 위한 세제지원을 대폭 강화하는 추세다. 그런데 국내 생산 활동 자체에 대한 세제지원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그래서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첨단기술을 활용해 국내에서 생산·판매되는 제품에 대해 생산비용의 최대 10%까지 세액공제를 허용하는 것이다. 기존의 설비투자 세제지원에서 한발 더 나아가 생산활동 자체에 인센티브를 부여해 첨단 제조업 기업의 국내 유턴과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유도하겠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이외 지역에서 생산된 첨단기술 제품에 대해서는 세액공제를 받지 못한 금액에 대해 환급을 허용했다는 부분이다. 이를 통해 수도권 중심의 산업 집중을 완화하고 지방 전략산업 단지의 실효성을 제고하려는 구조적 유인책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번 법안이 통과될 경우 국내 첨단산업의 유턴 및 지역 이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보인다. 특히 (배터리·반도체·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국내 공급망 안정화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안도걸 국회의원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EU의 Chips Act 등 주요국들이 자국 내 생산에 대한 세제지원을 경쟁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며 “우리도 투자비 세액공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실제 생산이 이뤄지는 현장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전환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거듭 밝혔다.

그러면서 안 의원은 “첨단기술의 국내 생산기반 강화는 단순한 산업육성을 넘어 안보·경제 전반과 직결된 공급망 안정의 핵심축이다”며 “세제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기업의 국내 유턴과 지방투자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