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범시민단체연합 외 71개 단체는 25일 오후 인천시청 앞에서 가자회견을 열고 “인천시의 불공정한 언론 홍보비 집행”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날 단체들은 “특정 언론사에 집중된 광고비와 지원금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시민 혈세가 특정 언론사의 협박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또한 성명을 통해 "인천시는 특정 언론사에 천문학적인 금액을 지급하며, 마치 조직 폭력배나 동네 일진에게 상납하듯 행정을 운영하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특정 언론사가 비판적인 기사를 통해 시정을 압박하면 인천시는 이를 무마하기 위 해 더 많은 광고비를 지급하는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이어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행정기관이 일부 언론사의 협박성 기사에 굴복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 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시민의 세금이 특정 언론사의 생존을 위한 도구로 쓰여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시민들은 ”인천시의 불투명한 예산 집행을 규탄하며 ▲특정 언론사 특혜 중단 ▲홍보 예산 집행의 투명성 강화 ▲부당한 행정 관행 철저 감사 ▲언론사와의 유착 여부 조사 등“을 강력히 요구했다.
한편, 인천광역시의회 허식 의원(건설위)은 25일 오전 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시정 질의에서 성용원 인천시 대변인을 상대로 “인천시 시정 홍보비와 사업비가 특정 매체에 편중되어 있다는 지적하고 개선을 촉구했다.
허식 의원은 이날 ”한 언론사의 광고 지면을 펼쳐보이며, 특정 정치인의 발언이 언론 탄압 및 언론자유를 억압하는 결과를 초래해 2개월째 빈 광고로 신문이 발행되는 결과가 나왔다“며 ”강사 전한길 씨가 듣고 울분을 토했다“고 부연 설명했다. 이어 ”인천시가 행정광고·공고를 통해 도와줄 수 없는가?“라며 ”언론 탄압에 항거하고 언론자유를 보장하는 행위를 할 수 없는지“를 물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