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X공사는 지난해 행정안전부와 협력하여 몽골 주소정보 현대화 사업을 코이카의 공공협력사업으로 제안했으며, 지난해 8월 공공협력 후보 사업으로 1차 선정됐다.
또한, 11월에는 몽골 현지에서 몽골의 주소 현황에 대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올해 2월 14일 최종 심사를 거쳐 공공협력사업 공모의 관문을 통과해 한국형 주소체계의 첫 해외 진출을 본격화하게 됐다.
이번 사업이 추진된 배경으로는 몽골의 생활공간이 도시와 농촌, 유목 등으로 다양하고, 수도 울란바토르의 과밀화로 인해 효율적인 도로명 주소 체계가 필요하다는 몽골 정부의 판단이 있었다. 이를 위해 몽골 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선진국 사례를 검토하였고, 최종적으로 한국의 주소체계 도입을 결정하게 됐다.
한국의 K-주소체계 도입을 위한 제안액 110억원 규모의 이번 몽골 사업 총 기간은 3년 10개월로 △주소정보 시스템고도화 △주소정보 DB구축 △게르(Ger) 지역 무단점유지 현황 조사 △길안내 공공서비스 시스템 구축 △역량강화 교육 등 몽골의 주소체계 고도화와 토지, 도로정보 재정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LX공사는 이번 공모사업 최종 심사에서 한국형 주소체계 도입에 대한 몽골 정부의 열의와 행정안전부와 LX공사 간 유기적 협력체계가 높은 평가점수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사업은 상반기 외교부 시행계획 검토 및 ‘무상개발협력관계기관 협의회’를 거쳐 올 하반기 예산 심의 후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LX공사 어명소 사장은“이번 공공협력사업을 통해 한국의 우수한 K-주소체계를 몽골에 성공적으로 전파함으로써, K-주소의 브랜드화와 이를 통한 다양한 국가로의 확산이라는 성과를 거두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몽골 정부의 공식 요청으로 3월 24일부터 주소 전문단을 파견해 고위급 회담 및 ‘몽골 주소법’ 개정 컨선팅을 통해 몽골 주소 현대화 사업을 지원한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