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향엽 의원실이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확인한 결과 무안공항은 △22년 1건 △23년 2건 △24년 6건의 조류충돌(bird strike) 사고가 생겼다. 이를 운항 1만 회당 발생 건수로 환산하면 △22년 14.35건 △23년 10.25건 △24년 22.23건에 이른다. 지난해 1만 운항당 조류충돌 발생률은 국내공항 중 무안공항이 가장 높았다.
국내공항 중 가장 큰 인천공항의 경우 운항 1만 회당 조류충돌 발생 건수는 △22년 2.04건 △23년 1.69건 △24년 2.47건에 불과했다. 아는 이는 알다시피 작년 무안공항은 인천공항 보다 약 9배 많은 bird strike 발생률을 기록했다. 김포공항은 △22년 3.86건 △23년 3.77건 △24년 3.33건 조류충돌 사고가 터졌다.
한편 참사 발생 열흘 전인 지난해 12월 19일 열린 무안공항 조류충돌예방위원회에선 조류충돌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권향엽 의원실이 한국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무안국제공항 조류충돌예방위원회 개최 결과) 자료엔 “복행 시 해변 쪽에서 조류출몰이 종종 발생하는데 어느 정도까지 조류퇴치가 가능한지”라는 질문이 있었다.
이에 공사의 자회사이자 호남권 공항시설을 관리하는 남부공항서비스는 “최대한 퇴치 활동을 위해 노력하지만 인력과 차량이 부족하고 해변 등 원거리까지 확성기 소리가 미치기엔 한계가 있다”는 형식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남부공항서비스는 위원회 개최 이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권향엽 국회의원은 “무안공항의 조류충돌 발생률은 인천공항의 약 9배에 달하는 수준이다”며 “국토부는 공군 서산비행장에 있는 조류탐지 레이더 설치 등과 같은 예방조치를 시급히 강구해야 한다”고 거듭 역설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