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호근 대덕대 교수는 "통상 국과수를 거치지 않고 이해당사자인 제조사에 보내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 해당 전기차의 하부만 불에 타 차체 내부 프로그램이 살아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배터리 전력잔량(SOC), 내장 메모리 분석 등은 제조사가 더 정확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산 국산을 떠나 배터리가 노후되면 음극 표면에 결정이 생기는 덴드라이트 현상으로 화재 위험이 커진다"며 "완충됐다 하더라도 배터리가 조금씩 방전하며 차체 전력 흐름이나 내부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교수는 "이 경우 배터리 충전을 85%까지만 하고, 급속 충전보다는 완속 충전을 하는 것이 배터리 노후화에 따른 화재를 막을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말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