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산자중기위 소속 박영순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대덕)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2조 8천 181억원 규모의 산업부 R&D 예산 중 경기도가 총예산의 30.4%인 8천 554억원으로 가장 많은 지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서울 17.1%인 4천 811억원, 충남 8.6% 2천 432억원, 경남 7.3%인 2천 44억원, 대전 7.1% 1천 991억원 순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위치해 있는 대전의 국가 R&D 지원 비중도 ‘18년 8.4%에서 ‘19년 8.2%, ‘20년 7.3%에 이어 ‘21년, 22년 7.1%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기도의 R&D 지원 비중은 ‘18년 25%에서 ‘19년 26.2%, ‘20년 28.1%, ‘21년 29.7%, ‘22년 30.4%까지 매년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게다가 서울·경기·인천 수도권 비중은 ‘18년 47.2%에서 ‘19년 48.9%, ‘20년 49.8%, ‘21년 51.5%, ‘22년 51.6%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한편 가장 적은 R&D 지원을 받은 제주, 강원, 세종은 5년간 1%대도 안 된 수준으로 밝혀졌다. 광역시인 광주·대구·부산마저도 5%에 밑도는 R&D 예산을 지원 받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수도권 중심의 예산 배정이란 지적에 설득력이 강해지는 상황이다.
이에 박영순 의원은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메카로 불린 대전마저 국가 R&D 지원 예산이 매년 줄어들고 있는데 수도권의 비중은 매년 늘어 결국 전체 예산 중 절반을 넘게 배정됐다”면서 “정부는 말로만 지방 균형 발전을 외칠 것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지방 R&D 역량 강화와 예산 재배정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고 꼬집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