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팅크웨어의 모빌리티 및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 자회사인 아이나비시스템즈(대표이사 성득영)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관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중 ‘주변환경 정보융합 기반 협력형 차량제어 기술 개발’ 국책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아이나비시스템즈 주관으로, 한국자동차연구원, 케이스랩 등 8개 산·학·연 컨소시엄으로 참여했다.
해당 국책 과제는 범부처의 사업단(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에서 그린카·스마트카·xEV·자율주행·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기술을 기반으로 기획해 18개 과제에 1800억원 규모의 사업비가 지원되는 주요 사업이다.
아이나비시스템즈 컨소시엄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차량 대 차량 통신(V2V, Vehicle to Vehicle) 기반 주변차량의 센서/주행 데이터를 융합해 도로상황의 인지영역을 확장, 주행 한계상황을 극복하는 협력형 자율주행 제어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서 아이나비시스템즈는 인지영역 확장에 필요한 ‘경량화된 정밀측위지도(Lightweight Localization Map)’ 모듈 및 ‘협력형 차량 제어기 H/W 플랫폼’ 개발을 진행한다. 컨소시엄은 단계별로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공동 수행하며, V2V 기반 N2N(다중접속, Network-to-Network) 협력형 차량제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실제 도로 및 리빙랩 실증을 거쳐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아이나비시스템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레벨4 자율주행 차량의 커넥티드 기반 인지 증강화 및 협력 자율주행 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 중에 있어 과제 간 연계를 통해 개발 수준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득영 아이나비시스템즈 대표는 “커넥티드 차량의 인지 증강화에 필요한 정밀측위지도 경량화 기술로 레벨4 자율주행 기술의 고도화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큰 의미를 갖는다”며 컨소시엄을 이룬 각 사의 장점을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협력형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사업화와 연계되는 기술 개발인 만큼 레벨4수준 자율주행 차량의 인지 증강화 및 경로 최적화에 필요한 시스템과 더불어 커넥티드 블랙박스 연동 기술 확대 등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해당 국책 과제는 범부처의 사업단(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에서 그린카·스마트카·xEV·자율주행·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기술을 기반으로 기획해 18개 과제에 1800억원 규모의 사업비가 지원되는 주요 사업이다.
아이나비시스템즈 컨소시엄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차량 대 차량 통신(V2V, Vehicle to Vehicle) 기반 주변차량의 센서/주행 데이터를 융합해 도로상황의 인지영역을 확장, 주행 한계상황을 극복하는 협력형 자율주행 제어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서 아이나비시스템즈는 인지영역 확장에 필요한 ‘경량화된 정밀측위지도(Lightweight Localization Map)’ 모듈 및 ‘협력형 차량 제어기 H/W 플랫폼’ 개발을 진행한다. 컨소시엄은 단계별로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공동 수행하며, V2V 기반 N2N(다중접속, Network-to-Network) 협력형 차량제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실제 도로 및 리빙랩 실증을 거쳐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아이나비시스템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레벨4 자율주행 차량의 커넥티드 기반 인지 증강화 및 협력 자율주행 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 중에 있어 과제 간 연계를 통해 개발 수준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득영 아이나비시스템즈 대표는 “커넥티드 차량의 인지 증강화에 필요한 정밀측위지도 경량화 기술로 레벨4 자율주행 기술의 고도화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큰 의미를 갖는다”며 컨소시엄을 이룬 각 사의 장점을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협력형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사업화와 연계되는 기술 개발인 만큼 레벨4수준 자율주행 차량의 인지 증강화 및 경로 최적화에 필요한 시스템과 더불어 커넥티드 블랙박스 연동 기술 확대 등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