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유통·생활경제

[유통경제 이슈] 몬스터 에너지, 토트넘 홋스퍼의 프리시즌 한국 경기 초대권 프로모션 진행 外

2022-06-29 15:47:42

[유통경제 이슈] 몬스터 에너지, 토트넘 홋스퍼의 프리시즌 한국 경기 초대권 프로모션 진행 外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편도욱 기자] ◆몬스터 에너지, 토트넘 홋스퍼의 프리시즌 한국 경기 초대권 프로모션 진행

몬스터 에너지(Monster Energy)가 토트넘 홋스퍼와 국내 축구 팬들에게 몬스터 에너지만의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토트넘 홋스퍼는 이번 여름 7월 10일부터 16일까지 프리시즌 투어를 위해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몬스터 에너지는 토트넘 홋스퍼 구단의 공식 에너지 드링크 파트너이다.

잉글리쉬 프리미어 리그 득점왕 손흥민이 소속된 토트넘 홋스퍼는 이번 프리시즌 동안 한국에서 두 번의 경기를 앞둬 국내 축구 팬들의 기대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몬스터 에너지는 토트넘 홋스퍼 공식 파트너로 국내 팬들에게 토트넘 홋스퍼 경기 초대권과 몬스터 에너지와 토트넘 홋스퍼 선수들이 함께하는 특별한 팬미팅 초대권이 포함된 2개의 온라인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몬스터 에너지에서 주최하는 이번 특별 팬미팅은 토트넘 홋스퍼 선수 4명과 함께 질의응답 시간과 기념사진 촬영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며 7월 15일 개최될 예정이다.

최근 론칭한 몬스터 에너지 공식 네이버 브랜드 몰에서 7월 4일 오후 8시에 진행되는 ‘네이버 쇼핑라이브’를 통해 몬스터 에너지 음료를 구매하여 특별 팬미팅과 토트넘 홋스퍼 경기 초대권이 경품으로 포함된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다.

또한, 6월 29일부터 7월7일까지 몬스터 에너지 홈페이지에서도 토트넘 홋스퍼의 특별 초대권 프로모션이 진행된다. 응모자들을 대상으로 ▲1등 총 4명 중 2명에게 7월 13일 토트넘 홋스퍼 서울 경기 2인 초대권, 2명에게 7월 16일 토트넘 홋스퍼 수원 경기 2인 초대권, ▲2등 2명에게 토트넘 홋스퍼 선수 친필 사인 유니폼, ▲3등 10명에게 토트넘 홋스퍼 공식 유니폼, ▲4등 20명에게 토트넘 홋스퍼 물병을 경품으로 제공한다. 당첨자는 7월 8일에 몬스터 에너지 네이버 포스트에서 발표된다.

한편, 몬스터 에너지는 지난 3년간 잉글리쉬 프리미어 리그의 구단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몬스터 에너지는 파트너십 기간 동안 토트넘 홋스퍼 선수들 친필 사인 유니폼과 상품들을 비롯한 다양한 몬스터 에너지 공식 굿즈 등을 증정하는 프로모션을 토트넘 홋스퍼와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유틸렉스, CGTWEA에서 세포치료제 연구 현황 및 성과 발표

면역항암제 전문기업 (주)유틸렉스(코스닥 263050)가 ‘동아시아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컨퍼런스(Cell&Gene Therapy World East Asia 2022, 이하 CGTWEA)’에서 세포치료제 분야 대표사로 T세포치료제 및 CAR-T치료제 연구 현황 및 성과를 공유했다.

‘CGTWEA’는 바이오 의약품 전문가 및 기업들이 모여 바이오 의약품 개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장으로, 올해 행사는 29일부터 30일까지 송도에서 개최된다.

T세포치료제 및 차세대 CAR-T치료제를 개발 중인 유틸렉스는 이번 CGTWEA에서 동아시아 세포치료제 연구를 선도하는 대표사로 초청받았으며, 발표자인 최수영 대표이사는 해당 분야 전문가로서 금번 컨퍼런스 의장으로 위촉된 바 있다.

최 대표는 유틸렉스 발표 세션에서 T세포치료제 ‘EU204(EBViNT, 앱비앤티)’의 EBV양성 NK/T세포림프종 환자 대상 성과 및 ‘EU210(WTiNT, 위티앤티)’의 뇌종양 환자 대상 성과를 업계 전문가들 앞에서 발표하고, 향후 임상 개시 예정인 차세대 CAR-T치료제 ‘EU307(GPC3-IL18 CAR-T)’ 비임상 결과 및 개발 계획을 공유했다.

유틸렉스 최수영 대표이사는 “유틸렉스의 연구성과를 공유함과 동시에 동아시아 대표 행사에서 의장으로 기여할 수 있어서 영광”이라고 전했다.

◆시지바이오, 포항공대와 AI 기반 3D 프린팅 시스템 연구개발 본격화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는 포항공과대학교 장진아 교수(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연구팀과 AI(인공지능) 기반 3D 바이오 프린팅 시스템 연구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29일 밝혔다.

시지바이오는 연구를 위한 3D 바이오 프린터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장진아 교수 연구팀은 다양한 바이오 소재를 활용해 3D 프린팅을 진행하며 얻어지는 데이터를 제공할 계획이다.

현재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과 이를 활용한 산업의 발전에 대한 기대와 가능성은 매우 높지만 산업 분야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는 금속 3D 프린터와는 달리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은 프로토 타입 (prototype)[i]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3D 프린팅 작업자의 경험 및 숙련 정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제품에 대한 생산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품을 생산하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동 제어 기능 등 사람의 직접 개입을 최소화하는 시스템 개발이 필수적이다.

시지바이오와 장진아 교수 연구팀은 데이터 분석 및 학습을 통해 3D 바이오 프린팅 진행 중 발생하는 오류 상황에 대한 데이터 수집, 분석 및 유효한 대응 방법에 대해 학습을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문제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오류 상황 발생시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AI 기반 3D 프린팅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한다. 시지바이오와 장진아 교수 연구팀은 앞서 2021년 10월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장진아 교수는 3D 바이오 프린팅 분야의 국내 석학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대표적인 연구 분야는 조직 유래 바이오잉크 개발 및 응용이다. 지난 3일에는 3D 바이오 프린팅과 조직 공학 분야에서 학계에 공헌한 바를 인정받아 미국 생산공학회의 젊은 생산공학자상을 수상한 바 있다.

장진아 교수는 “3D 바이오 프린팅은 재생의학 발전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분야다. 재생의료 전문기업이자 3D 바이오 프린팅에 대한 노하우를 보유한 시지바이오와의 협력을 통해, 첨단 3D 바이오 프린팅 제품 제조 기술에 대한 혁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