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코엑스는 향후 잠실 MICE 복합공간 개발 시 코엑스(CMC), 현대차복합업무지구(GBC), 잠실(GMC) 일대를 서울을 찾는 바이어와 관광객들이 반드시 가봐야 하는(MUST-VISIT) 장소로 육성하기 위해 세계적인 페스티벌을 개최할 것이라고 6일 밝혔다.
코엑스는 잠실 시대를 대비해 무역센터내 주요 기업 및 단체들과 ‘코엑스 MICE클러스터 위원회(CMC)’를 조직하여 그간 C페스티벌, 윈터페스티벌 등 문화콘텐츠를 접목한 다양한 페스티벌을 개최해오고 있다.
코엑스는 기존 코엑스마이스클러스터(CMC)에 참여하는 무역센터 16개사 이외에 무역협회 컨소시엄 참여사 모두가 참여하는 마이스클러스터를 확대해 초대형 비즈니스 문화축제의 장으로 만들 수 있는 대형 글로벌 전시회와 국제회의를 유치해 MICE 도시로서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한국산업개발연구원(KID)은 코엑스가 코로나(COVID-19) 직전인 2019년 5월 2일부터 4일간 열린 ‘C페스티벌 2019 개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연구보고서를 통해 국내외 관람객 155만명이 찾았으며,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535억원, 소득유발효과 315억원, 세수유발효과 97억원, 고용유발 1115명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바 있다.
무역협회 컨소시엄의 일원으로 참여한 코엑스는 연간 순수 전시회 개최 면적이 75만 4680㎡로 국내 최대 규모의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이에 세계적인 마이스 기업들과 대형 전시회와 국제회의 유치를 공동 마케팅하여 조기에 정상운영 한다는 전략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독일 하노버 전시장 운영사인 도이치메쎄로부터 잠실 마이스의 글로벌 스탠다드 적용을 위한 자문을 완료 운영에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도 체결하기도 했다.
한국무역협회와 코엑스는 3월 8일 베트남 투자개발공사 베카멕스(BECAMEX)와 베트남 최대 규모인 ‘빈증 신도시 전시장(WTC Binh Duong New City Expo)’ 운영계약을 체결하고 신남방국가로 글로벌 마이스(MICE) 시장으로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코엑스가 유치 확정 및 진행 중인 국제회의만 2028년까지 60여회에 달한다. 오는 2022년 1만 명 규모의 세계산림총회, 2023년 국제머신러닝 컨퍼런스 등 대형 국제 행사가 줄줄이 예정되어있다. 잠실 MICE 운영을 통해 개최 공간 부족으로 경쟁국으로 빼앗긴 국제회의가 서울에서 본격적으로 열리게 되면 경제적 파급효과로 인한 외화획득과 일자리 창출에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코엑스 관계자는 “2016년부터 잠실 마이스 운영을 계획하고 준비해 왔다”며 “글로벌 탑 전시회사인 리드엑시비션스(RX), 메쎄프랑크푸르트, 아이티이(ITE), 코멕스포지엄(COMEXPOSIOM) 등으로부터 업무 협력 확약을 받았고 세계전시협회(UFI), 국제컨벤션협회(ICCA), 국제PCO협회(IAPCO) 등 글로벌 협단체 네트워크를 구축해 K-마이스 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도록 촘촘히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코엑스는 잠실 시대를 대비해 무역센터내 주요 기업 및 단체들과 ‘코엑스 MICE클러스터 위원회(CMC)’를 조직하여 그간 C페스티벌, 윈터페스티벌 등 문화콘텐츠를 접목한 다양한 페스티벌을 개최해오고 있다.
코엑스는 기존 코엑스마이스클러스터(CMC)에 참여하는 무역센터 16개사 이외에 무역협회 컨소시엄 참여사 모두가 참여하는 마이스클러스터를 확대해 초대형 비즈니스 문화축제의 장으로 만들 수 있는 대형 글로벌 전시회와 국제회의를 유치해 MICE 도시로서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한국산업개발연구원(KID)은 코엑스가 코로나(COVID-19) 직전인 2019년 5월 2일부터 4일간 열린 ‘C페스티벌 2019 개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연구보고서를 통해 국내외 관람객 155만명이 찾았으며,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535억원, 소득유발효과 315억원, 세수유발효과 97억원, 고용유발 1115명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바 있다.
무역협회 컨소시엄의 일원으로 참여한 코엑스는 연간 순수 전시회 개최 면적이 75만 4680㎡로 국내 최대 규모의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이에 세계적인 마이스 기업들과 대형 전시회와 국제회의 유치를 공동 마케팅하여 조기에 정상운영 한다는 전략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독일 하노버 전시장 운영사인 도이치메쎄로부터 잠실 마이스의 글로벌 스탠다드 적용을 위한 자문을 완료 운영에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도 체결하기도 했다.
한국무역협회와 코엑스는 3월 8일 베트남 투자개발공사 베카멕스(BECAMEX)와 베트남 최대 규모인 ‘빈증 신도시 전시장(WTC Binh Duong New City Expo)’ 운영계약을 체결하고 신남방국가로 글로벌 마이스(MICE) 시장으로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코엑스가 유치 확정 및 진행 중인 국제회의만 2028년까지 60여회에 달한다. 오는 2022년 1만 명 규모의 세계산림총회, 2023년 국제머신러닝 컨퍼런스 등 대형 국제 행사가 줄줄이 예정되어있다. 잠실 MICE 운영을 통해 개최 공간 부족으로 경쟁국으로 빼앗긴 국제회의가 서울에서 본격적으로 열리게 되면 경제적 파급효과로 인한 외화획득과 일자리 창출에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코엑스 관계자는 “2016년부터 잠실 마이스 운영을 계획하고 준비해 왔다”며 “글로벌 탑 전시회사인 리드엑시비션스(RX), 메쎄프랑크푸르트, 아이티이(ITE), 코멕스포지엄(COMEXPOSIOM) 등으로부터 업무 협력 확약을 받았고 세계전시협회(UFI), 국제컨벤션협회(ICCA), 국제PCO협회(IAPCO) 등 글로벌 협단체 네트워크를 구축해 K-마이스 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도록 촘촘히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