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법원·헌법재판소

울산지법, 군대서 크론병 발병 이유 국가유공자 인정 신청 '비해당결정' 처분 적법

2021-11-08 10:14:45

울산지법·가정법원이미지 확대보기
울산지법·가정법원
[로이슈 전용모 기자] 울산지법 제1행정부(재판장 정재우 부장판사·조현선·황인아)는 2021년 10월 7일 군 복무를 마친 남성(원고)이 군대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스트레스에 시달려 크론병(염증성 장 질환)에 걸렸다며 국가유공자로 인정해 달라는 소송(국가유공자요건비해당결정 취소)을 제기한 사안에서, 비해당 결정을 한 피고의 처분은 적법하다며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다(2020구합7775).

원고는 "입대 전 크론병 진단을 받은 사실이 없고 원고의 부모도 그러한 진단을 받은 적이 없으며, 입대 후 풀이 무성한 곳에서 근무하면서 풀알레르기가 발생했으나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알레르기 치료 당시 스테로이드 약물을 과다 처방 받아 신체가 약해졌으며, 밤낮이 바뀌는 가혹한 환경에서 훈련 및 근무를 하고 이로 인한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서 크론병(이하 ‘이 사건 상이’)이 발병 또는 악화된 것이므로 국가유공자(주의적) 또는 보훈보상대상자(예비적)로 인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사건 각 처분은 위법하다"고 주장했다.
재판부는 원고는 군 복무 기간 중 항문질환을 진단받고 전역 8개월 후크론병 의심 소견을 진단받았으며 그로부터 6개월 후 크론병 확진 판정을 받아 이 사건 상이의 발병 시점이 원고의 군 복무 기간 중일 가능성이 있어 보이기는 한다. 그러나 원고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원고의 군 직무수행 또는 교육훈련으로 이 사건 상이가 발병했다거나 자연경과적 진행속도 이상으로 악화되었다고 인정하기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이와 같은 전제에서 이루어진 피고(울산보훈지청장)의 이 사건 각 처분은 적법하다.

원고가 입대 후 발병했다고 하는 윤상 병변 등 피부 질환이 이 사건 상이의 증상에 해당한다거나 서로 관계가 있다는 의학적 근거는 없다. 원고가 수행한 탄약창고 경계근무가 원고의 건강에 부담을 줄 정도로 특별히 과도한 업무로 보이지 않고, 달리 군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으로 인하여 원고에게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통상적으로 감내하기 어려운 수준의 업무량 내지 업무 강도 및 업무시간 부하가 있었다거나 업무상 스트레스가

있었다고 볼 만한 자료가 없으며, 나아가 과도한 신체활동이나 정신적 스트레스가 크론병의 악화와 연관이 있다는 의학적 보고도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원고가 크론병의 발병 및 악화와 관련하여 문제 삼고 있는 세균, 바이러스 등은 그에 대한 구체적 입증도 없을 뿐만 아니라 원고가 주장하는 근무환경, 세균, 바이러스 등이 원고에게 크론병의 발병․악화 요인으로 작용한 정도, 경로 등에 대하여 막연한 가능성을 넘어서는 객관적 근거나 자료를 발견할 수 없다. 그 밖에 원고의 군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및 복무환경과 이 사건 상이 사이에 의학적 인과관계가 있음을 인정할 만한 자료가 제출되지 않았다며 원고의 주위적 및 예비적 청구는 모두 이유없다고 했다.
◇국가유공자 등 예우와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 제1항 제6호(공상군경) 및 보훈보상대상자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항 제2호(재해부상군경)에 규정된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상이(공무상의 질병을 포함한다)’에 해당하기 위하여서는 적어도 교육훈련이나 직무수행과 부상 또는 질병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어야 하고, 상당인과관계의 유무는 이를 주장하는 측에서 입증하여야 하는바, 반드시 의학적·자연과학적으로 명백히 입증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반 사정을 고려할 때 교육훈련이나 직무수행과 부상 또는 질병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고 추단되는 경우에도 그 입증이 있다 할 것이나, 이러한 정도에 이르지 못한 채 현대의학상 그 발병 및 악화의 원인 등이 반드시 교육훈련이나 직무수행과 관련된 것뿐 아니라 사적인 생활에 속하는 요인이 관여하고 있어 그 교육훈련이나 직무수행에 내재하는 위험이 현실화된 것으로 볼 수없는 경우까지 곧바로 상당인과관계가 있다고 추단하기는 어렵다(대법원 2007. 6. 1.선고 2006두11842 판결, 대법원 2017. 12. 13. 선고 2016두63996 판결 등 참조).

원고는 2014. 1. 20. 육군에 입대하여 복무하다가 2015. 12. 31. 병장으로 만기 전역했다. 원고는 2019년 12월 27일 피고에게 ‘군 복무 중 주야가 바뀌는 경계근무로 인해 몸의 불균형이 발생했고, 탄약창고 근무 초기부터 시작된 풀알레르기로 인한 피부질환 등에 대해 제때에 치료받지 못했으며, 스테로이드성 약물을 과다 처방받아 몸에 무리가 생기고, 후임병사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등 훈련,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환경 여건으로 크론병이 발생했다’고 주장하며 신청상이를 ‘크론병’(이하 ‘이 사건 상이’)로 하여 피고에게 국가유공자 및 보훈보상대상자 등록신청을 했다.

피고(울산보훈지청장)는 2020년 5월 18일 ‘이 사건 상이가 국가의 수호․안전보장 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군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발생하였다거나, 그 밖의군 직무수행 또는 교육훈련과 상당인과관계가 있어 발병 또는 악화되었다고 인정하기어렵다’는 사유로 공상군경, 재해부상군경에 해당하지 아니한다는 취지의 국가보훈처 보훈심사위원회의 심의·의결에 따라 원고에 대해 국가유공자 및 보훈보상대상자 요

건 비해당 결정(이하 ‘이 사건 각 처분’이라 한다)을 했다.

원고는 2020년 6월 18일 이 사건 각 처분에 관하여 피고에게 이의신청했으나, 피고는 2020년 7월 27일 이의신청을 각하했다.

그러자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이 사건 각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